마녀들 환상하는 여자들 2
브랜다 로사노 지음, 구유 옮김 / 은행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나는 사람들에게 묻습니다. 당신에게 무엇이 부족합니까, 전부 다 가지지 않았습니까, 오늘 부족한 것이 없다면 내일도 부족한 것이 없을 겁니다.“



이 책은 ‘팔로마’라는 여인이 혐오 사건의 피해자가 되면서 시작되는데 사실 정확히는 살인사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화자는 팔로마 사건을 취재하는 기자 ‘조에‘와 피해자 팔로마의 친척이자 위대한 언어 치유자 ’펠리시아나‘가 번갈아 나오며 자기 이야기를 한다.


팔로마가 아직 소년이던 ‘가스파르’ 시절부터 시작하는데 어쩌다 소년이 언어 치유자 팔로마가 되었는지를 이야기한다. 조에 역시 어린 시절의 집안 이야기를 하는데 펠리시아나와 조에가 각자의 인생을 들려주는데 전혀 접점이 없어보이지만 닮았다는 점이다.


펠리시아나가 마지막엔 ‘조에 양의 언어로 조에 양의 이야기를 하라’고 하는 부분이 있는데 작품을 곱씹어보니 조에가 했던 이야기의 대부분은 동생 ‘레안드라’의 이야기가 더 많았다. 사실 조에의 이야기도 있었지만 나는 레안드라의 이야기가 인상깊었다.

팔로마 사건을 지속적으로 언급해서 이야기가 반복되는 것 같으면서도 잔잔하게 진행되는데 묘한 끌림이 있다.


이 책은 은행나무의 ‘환상하는 여자들’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인데 이 시리즈는 참 묘하다.
전작인 <우주의 알>도 그랬지만 작품이 오묘하다.
자극적인 사건 없이 자기 이야기를 하는데 그 이야기엔 묘한 매력이 있다. 중반부터 나를 질질 끌고가면서 끝까지 읽게 만든다.

마지막 장면에서 의문이 들었지만 <옮긴이의 말>을 통해 작품이 정리되었다.
시리즈 다음 작품들도 궁금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레이브 뉴 휴먼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17
정지돈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구감소문제가 극에 달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사례. 특히 계급이 나눠지면서 인간 본성이 이렇게 잔인한가 싶을 정도로 비인간적인 모습에 충격적이다. 인구감소문제의 경각심을 일깨워 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레이브 뉴 휴먼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17
정지돈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는 자신의 삶도 세계 도 갈 곳을 잃었다고 생각한다. 문제를 해결하면 더 큰 문제가 따라온다. 우리는 악몽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인간이 다른 종으로 나뉘어져 벌어지는 이야기인데 차별의 끝판왕을 보여준다.
태어남은 내가 결정할 수 없는 무조건적인 사실인데 몸속 자궁을 통해 태어났는지 인공자궁을 통해 태어났는지를 보고 인간의 계급이 나뉜다.


인구의 수는 줄어 나라를 유지할 인적자원이 부족한 근미래에 이를 채워줄 인공자궁을 통한 ’체외인‘이 태어난다. 이들은 부모가 없으며 아이를 낳을 수 없고 가족을 만들 수 없다. 사회를 유지하는 가장 기초적인 노동을 담당하고 태어날 때부터 생긴 막대한 빚은 평생을 일해도 갚을 수 없다.


그런 억압 속에 일반인과 체외인의 갈등은 심해지고 폭발하게 된다. 어느날 체외인의 탄생에 충격적인 비밀이 밝혀지고 이들의 갈등은 심화가 된다.
체외인 사이에도 계급은 나뉘는데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없는데 그 불가능을 뚫고 성공한 체외인들은 일반인의 보증과 몇가지 심사를 거쳐 일반인으로 승격할 수 있다.


작품의 시작은 성관계가 난무하는 어느 도시에서 약간의 권력을 지닌 체외인 주인공 ’아미‘가 등장하며 시작되는데 많은 체외인들이 성관계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아마 인간의 3대 욕구인 식욕, 수면욕, 성욕 중 체외인은 그들이 상대적으로 접하고 무지성 쾌락으로 빠져들 수 있는 성욕을 선택한 것 같다. 그리고 그 쾌락에 몰두하면서 그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주어지는 억압과 차별을 잊으려는 걸까?

’아미‘와 같은 ’집‘에서 생활한 ’권정현지‘가 어느날 갑자기 연락해 체외인의 탄생에 관한 놀라운 뒷이야기를 해주며 ’아미‘의 연인이자 일반인이 ’철멍‘, 아미가 우연히 만나 성관계를 이루는 체외인 ’애드‘ 이 네 사람이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생각보다 비인간적으로 체외인을 다루는 일반인을 보며 인간이 이렇게도 권력적이고 지배적이었나, 이렇게 악했나 경악하게 만들었다.
인구감소의 심각성을 매년 호소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입장으로 읽어보니 남일 같지 않다.

인구감소문제의 경각심과 계급사회의 극단적인 단점을 보여준 다소 충격적인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살주식회사
잭 런던 지음, 한원희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인을 평가하는 것에 대한 풍자적이야기. 그리고 개인의 신녀이 지독하게 융통성이 없으면 아집처럼만 보인다는 것을 보여줌. 멋지지만 웃기고 그런데 답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살주식회사
잭 런던 지음, 한원희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게 뭐가 잘못됐습니까?˝ 루코빌이 호기롭게 마무리했다. ˝세상의 근본이 도덕입니다. 도덕이 없으면 세상은 소멸 될 겁니다. 모든 물질에는 공의로움이 존재합니다. 도덕을 파괴하면 만유인력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바위가 공중에 날아다니고, 전체 항성 체계가 상상도 할 수 없는 혼란 속으로 증발해버릴 겁니다.˝


도덕과 그들만의 신념, 막강한 믿음으로 똘똘뭉친 암살집단. 그들의 조직을 와해시키기위해 젊은백만장자 윈터홀이 나섰다. 직접 조직의 보스를 만나 보스 스스로를 처리해달라는 다소 엉뚱한 의뢰를 하는데 기가막히게도 자신을 암살하라는 의뢰를 받아들이는 보스.

초반에 읽을때만해도 이렇게 괴짜같은 사람이 있나 싶었는데 알고보니 진국인 이 남자. 그러다가도 전혀 타협 없고 유연하지못한 모습에 혀를 내두르게 하는 드라고밀로프.
암살을 의뢰한 장본인까지 광신도 암살집단의 매력에 빠져버리고 나또한 그렇게 됬다.

각 등장인물의 융통성 없는 모습과 그렇지만 또 유연하게 만나서 대화하는 장면들을 보면 정말 죽음을 초월했구나, 그들이 암살을 했다는 사실에 추호의 후회와 잘못을 느끼지 않는다고 생각됬다.


다만 그들이 그토록 지켰던 신념이 서로를 죽이는 도구가 됬다는게 안타까웠고 잘못된 신념이 고집에 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준 이야기가 아니였나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