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 - 부자들이 들려주는 '돈'과 '투자'의 비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샤론 레흐트 지음 | 형선호 옮김 / 민음인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에서 '부자되기 열풍' 이 일어난 것은 모 카드사 CF 의 '부자되세요' 라는 카피 문구와 함께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당시 그 광고 카피가 유행을 거듭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부자에 대한 인식을 다시 짚어보곤 했던 기억이 있다. 그 전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에 있어 '부자' 라는 개념은 '쉽게 이뤄질 수 없는' 혹은 '천운이 따라야' 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부자되기를 포기하거나 아니면 복권 등을 사면서 천운을 기다리는 것이 고작이었다. 하지만 그 즈음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부자에 대한 인식은 급격하게 바뀌기 시작했다. 부자는 만들어지는 것이며, 부자가 되기 위해 산다는 것은 전혀 부끄럽지 않다는 것. 오히려 노력해서 부자가 된다는 것은 자랑스러운 것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진 것이다.

 사실 이 책이 처음 나온 것도 그 즈음이 아닌가 생각된다. 하지만 그 때 그 열풍에 휩쓸리기에 나는 너무 어렸고 그만한 여력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저자는 책에서 9살에 금융교육을 받았다곤 하지만 나에게는  교육을 담당해줄 사람이 없었던 것도 현실이었다.) 그저 부자는 열심히 돈 벌어서 저축하면 되는 것인 줄 알았었다. 어쩌면 그게 인식의 한계였을지도 모른다. 얼마 후에 우리나라 사회에서 대대적으로 부자 열풍이 불기 시작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 흐름에서 쳐지지 않기 위해 처음 접한 책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이다.

 하지만 이 책을 처음 접하면서 책 내용에 바로 동의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원래 배울 것만 배운다는 유동적인 입장이었지만) 초반에 펼쳐지는 내용은 인식 체계 자체를 흔들어 놓기에 충분하다. 더 높은 학위를 따서 더 많은 연봉을 받고, 그 돈을 저축해서 만들어 지는 것이 내가 그 동안 가졌던 부자의 개념이었다면 저자는 언뜻 학교 교육 자체를 부정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 그야말로 그런 거 다 필요 없고, 결국 돈이 최고거든... 이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거기에 투기를 조장하는 건지 계속해서 부동산 얘기며 주식 얘기가 이어졌다. 그렇게 해서 돈버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클 뿐 아니라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라고 배운 나는 책을 끝까지 읽기가 꺼려졌던 것이 사실이다.

 책을 끝까지 읽고서야 나의 상황에 맞춰서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완전한 '자본주의자' 의 입장에서 씌여졌다는 것. 그리고 나는 그의 이론을 받아들이되 100% 수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나서야 지금의 상황에 접목시킬 수 있었고, 이 책에서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 깨달았다. 결론은 계속해서 금융지식을 키우라는 것. 다른 학위의 중요성과 함께 금융지식을 키워 언젠가는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만들라는 것. 결국은 '또다른' 배움이라는 것으로 나의 생각은 정리되었다. 앞으로 20년 이상은 그 배움을 위해서 노력해야 될 것 같다. 45살 이후의 경제적으로 독립된 나를 위해서...

P.S. 물론 개인적으로 아직 학위의 중요성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원하는 일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 그것은 돈이 아니라 학위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돈이 있으면 더 똑똑한 사람을 고용하면 된다지만 내가 생명공학을 모르면서 그 연구를 즐길 수는 없지 않은가...^^; 결국 난 학위를 위한 공부와 금융 공부를 병행해야 될 것 같다.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빠의 사이. 덜 부자지만 그렇다고 가난하지도 않은 아빠가 되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