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29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 몇 년 사이 체게바라 라는 이름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하나의 상징적인 단어로 자리잡은 것 같다. 심지어는 고등학생들도 체게바라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다니는 모습을 심심찮게 보이곤 한다. 아무래도 그러한 신드롬적인 현상에는 사상의 자유의 보장이라는 것과 함께 출판된 수많은 체게바라 관련 서적들이 한 몫을 했을 것이다. 그 중심에는 이 책이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필자의 주위에도 체게바라 평전을 읽고 혁명을 이루겠다는 고등학생이나 세상을 뒤집겠다는 대학생들을 많이 보았다. 사실 그러한 친구들이 있었기 때문에 호기심으로 이 책을 사봤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책을 접하기 전 게바라에 대해서 알고 있었던 것은 과격 혁명주의자 정도였고, 나는 그런 것에 동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서도 그러한 생각은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았다. 그는 분명 과격 혁명주의자일 뿐인 것 같다. 물론 '어쩔 수 없는 상황' 이라는 조건이 있지만, 그의 사상을 그대로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위에서 100% 그의 것을 따라하려는 사람들을 볼 때 그에대한 재해석의 부족함을 새삼 느끼곤한다.

 하지만 그러한 현상은 이 책의 서술 방식에 기인하는 것 같다. 체게바라 관련 책 중에서 가장 많이 읽힌다고 할 수 있는 이 책이지만 그에 대한 설명은 예찬 뿐이다. 물론 작가가 게바라의 행적을 좇아가기 위해 노력한 모습은 충분히 보이지만, 그가 왜 혁명이라는 것을 택했고, 왜 그러한 삶을 살았는가에 대한 설명이 너무 부족하다. 당연히 그는 혁명이라는 것을 해야 됐고 혁명을 성공했으니 그는 당연히 예우해 줘야 한다는 논조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게바라를 알리는 것이 목적이었다만 그 당시의 상황이 정확이 어땠는지, 그가 그러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한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찬양이나 비판없는 글은 평전이라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 당시에는 이러한 일이 가능했겠구나 라는 생각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같지 않은 현실에서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hrike 2005-01-02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격한 혁명가이기도 하지만, 어찌보면 지독한 낭만주의자로 느껴지더군요.

한방블르스 2007-12-03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게바라가 과연 혁명을 위하여 쿠바를 떠났을까? 혁명이 그를 필요했던 것이 아니라 게바라가 혁명을 필요로 했던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들곤 합니다.
게바라를 상업적으로 내몬 자유주의자들에 의하여 새롭게 부할하였다고 봅니다. 물론 체는 존경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神적으로는 아니고 인간 게바라를 보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