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멜리 노통의 소설들을 죽 읽어오면서 공통적으로 느낀 감정은 '역겹다' 였다. 입에 안 맞는 음식을 먹었을 때처럼 뱉어내고 싶은 하지만 그럴 수 없는 느낌이 들었다고 하면 딱 맞을 것이다. 하지만 그 역겨움은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일 뿐이지 결국 목구멍을 통해 음식을 넘겼을 때는 전혀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노통의 소설 또한 그렇다. 읽는 내내 편한 마음가짐으로 읽을 수가 없다. 그저 꾹 참고 글자를 씹어내는 것이다. 하지만 다 읽고 소화를 시키면 그제서야 그 의미를 떠올릴수 있는 것이다.

<두려움과 떨림> 또한 그러한 노통 소설의 느낌을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더구나 그 대상이 가장 역겹게 생각하는 일본이라니. 물론 이 소설에서 노통은 일본에서의 일을 그리고는 있지만 일본이 아닌 동양을 보는 시선을 보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딱히 일본이라고 할 수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 (물론 배경이 배경인지라 일본에 대한 얘기가 많고 중간중간 그러한 요소들이 배치돼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일본을 보는 (혹은 동양을 보는) 서양인의 시선이라고 하기에는 객관성이 현격이 떨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서양인이 아닌'아멜리'가 본 일본이며 이것은 곧 작가의 일본에 대한 고찰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작가는 일본에 대해서 또한 일본 사람에 대해서 적의를 품지도 그렇다고 좋아하지도 않는다. 나름대로의 객관적 시선을 유지하려 했으리라. 하지만 일본의 관료주의에 적응하기에는 '아멜리'는 덜 무장되어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 빨리 추락할 수 있었고, 일본에 대해서 더 많은 묘사가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추락하는 과정에서의 묘사는 정말 '역겹다'는 말이 딱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자학을 연상시키는 말들을 여지없이 뱉어내고, 서슴없이 자신이 미쳤다는 말을 한다. 보면 볼수록 가관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하지만 냉소에 찬 시선보다 이러한 모습이 나중에는 더 무섭고 더 섬뜩한 것이라는 건 책을 덮고 나서야 느낄 수 있었다. 다분히 역겨움 속에서 의미를 찾아가는 데 일가견이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면들이 책을 읽으면서 다소 불쾌한 기분이 들어도 자꾸 노통의 소설을 읽게 되는 이유가 아닌가 생각한다. 자꾸 뱉어버리려고 하지만 입에서는 그를 놓아주지 않고, 오히려 원한다. 나도 이제 그러한 상태가 되어가는 것 같다. 다음 노통의 소설이 나오는 날, 다시 나는 역겨움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기 위해 서점으로 달려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