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는 인간
구경미 지음 / 열림원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노는 인간은 소속되어 있는 독서클럽에서 2월 토론 대상으로 선정된 책이었다. 누군가의 추천이 있었지만 추천의 변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일단 책을 구해 읽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 책이 단편집이라는 최소한의 정보조차 갖지 못한 채 손에 쥐게 되었다.
'노는 인간'은 이 소설집의 표제작이다. 작품에서는 '작가'라는 최소한의 명분만을 가진 사람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어떤 목적도 희망도 없는 그녀는 동거남의 가시 돋친 말에 일단 밖으로 나온다. 그리곤 정처없이 돌아다니면서 노는 인간의 위상을 맘껏 누린다. 길가에 버려진 소파에 누워서 생각에 잠긴다거나 호프집에 혼자 앉아서 사거리에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는 일 등이다. 이런 소일거리들이 그녀가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사치이자 마지막으로 해볼 수 있는 반항의 전부다.
나머지 9편의 단편에서도 소위 노는 인간은 공히 등장한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제 3의 입장에서 봤을 때 보통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상사에게 마지막으로 한 방을 쏘아부치고 뛰쳐나와 시골에 잠적해버린다던가 갑자기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져버리는 행동은 보통 사람들은 생각할 수도 없는 일들이다. 이 소설의 매력은 바로 이런 것에 있다.
이렇게 일탈을 하는 사람들은 우리같은 보통 사람들에게 판타지를 심어준다. 하지만 현실은 현실이고 판타지는 환상일 뿐이다. 그렇게 뛰쳐나갔을 때 바로 하루 뒤만 생각한대도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행동으로 옮기고 일탈을 감행하는 이들이 부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최소한의 명분을 가지고 놀면서 다른 사람이 못보는 잉여의 영역을 만끽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 일이겠는가. 최소한의 명분이 재산으로 환원될 수 있다면 그만한 것도 없을 것이다. 예술하는 사람들의 무위의 삶은 부러움을 사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참신하다는 느낌은 받기 힘들었다. 분명 일탈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지만, 이젠 너무 흔한 얘기가 되버렸다는 느낌이다. 이미 주위에 놀고 있는 사람은 너무나 많다. 최소한의 명분만 있을 뿐 보통의 삶을 거부하는 또는 거부당하는 사람들이 너무 흔하다. 주위에서 뻔히 보는 사람들의 얘기를 또다시 소설에서 읽게되는 셈이다. 그래서 책 한 권을 다 읽고도 건조하다 싶을 정도로 무력함을 느끼는 건 아닌가 싶다.
작가의 첫 단편집이다. 아직 시작하는 작가라는 점에서 발전 가능성은 무한하다 하겠다. 지금 사회의 모습을 그려내는 방법을 배웠다면 이젠 그들이 어떻게 그러한 것들을 헤쳐나가는지 보고싶다. 그들이 무력하게 사는 모습은 독자들도 무기력하게 만든다. 작가의 다음 작품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