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는 소설을 통해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독자들에게 전한다. 그만큼 소설은 장르적인 특성상 일반적인 독자와 친숙하면서도 쉽게 의도를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인 셈이다. 작가가 말하려는 바를 알아차리지 못하더라도 소설을 통해서 그가 말하려는 것이 내화되어 은연 중에 행동으로 사고로 표현된다면 제 역할을 충분히 한 것이라 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향을 지닌 소설들을 우리는 흔히 '좋은 소설' (소설적인 재미와 작가의 의도를 적절하게 버무린 작품) 이라고말한다. 이 소설 또한 작가의 그러한 점에서 봤을 때 충분히 좋은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일단 이 작품은 재밌다. 작품이 비등점을 향해가기까지 적지 않은 페이지가 할애되는 덕에 몇몇 사람들이 초반에 책을 덮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 것 같지만, 비등점을 넘기고 나면 책을 읽는 내내 끓어오를 수 있는 충분한 재미가 있다. 호랑이와 단 둘이 좁은 구명보트 안에서 227일 간을 표류하면서 살아난 이야기는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경외에 더해서 긴박감을 놓치지 않아 책에서 손을 떼지 못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 책의 핵심은 그 재미에 있지 않다. 작가가 독자로 하여금 초반을 지루하게 만들면서까지 얘기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종교와 신, 그리고 인간이다. 인도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다종교를 가지는 한 소년을 통해 그는 종교에 대해 언급할 것임을 암시한다. 또한 주인공의 별명도 무한과 흔히 대체되곤하는 파이라고 지음으로써 자신이 앞으로 할 이야기가 단순한 표류기가 아님을 거듭 내세운다. 그렇지만 소년이 표류하게 되면서 앞에서 얘기되었던 신을 얘기하려고 했던 의도는 없어진 것처럼 보인다. 소년은 이따금 아침에 일어나서 기도를 하고 채식주의자임을 내세울 뿐 어떤 종교적인 색깔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여린 소년이 거친 호랑이와 어떻게 그 긴 기간을 버텼는지 풀어낼 뿐이다.

 마지막 장에 가서야 앞의 두 이야기가 상충되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게된다. 파이는 사건의 조사를 맡은 일본 선박회사 관계자에게 앞의 이야기와는 다른 조금 더 '현실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소년 자신으로 오랑우탄은 그의 어머니로 하이에나는 요리사로 각각 대체된다. 소년이 호랑이로 대체되면서  이 이야기는 호랑이와 단 둘이 긴 시간을 살아남은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소년이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요리사를 죽이고 혼자 표류하다 잡힌 어쩌면 뻔한 스토리가 되어버릴 운명에 처한다. 

 하지만 일본 선박 관계자들은 오히려 호랑이가 나오는 이야기가 더 나은 이야기라고 말한다. 독자들도 그들의 생각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호랑이와 살아남은 이야기는 이성적으론 믿을 수 없는 것들 투성이지만 결국 믿을 수밖엔 없다는 것. 작가가 말하고 싶은 종교도 결국엔 그런 것이다. 우리가 아무리 이성적으로 생각하려고 한대도 결국엔 알 수 없는 것, 하지만 종국에는 믿게되는 것. 우리가 알고있고 생각할 수 있는 세계가 그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모태신앙을 가지고 있으면서 과학을 하는 사람 입장에서 이러한 종교와 과학 감성과 이성의 문제는 언제나 상충되는 것처럼 보인 것이 사실이다. 과학적으로 파고들어가보면 신이 안 보이고, 종교를 맹신하게 되면 이성은 무의미하게 된다. 하지만 경험상으로 보더라도 둘은 상충되는 두 대립체들이 아니다. 사람은 이성적이면서도 감성적일 수 있고, 과학적이면서도 종교적일 수 있다. 과학으로 설명이 안 된다고 해서 믿지 못할 것도 아니며, 종교의 가르침과 다르다고 해서 우리가 알아낸 이성이 바뀌지는 않는다. 실제로 종교를 믿는 과학인이나 과학하는 종교인은 수없이 많고, 일각에선 가장 큰 대립각일 보이는 진화론마저 창조론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있을 정도다.

 이성적으로 설명이 안 되는 것이라고 해서 항상 그른 것은 아니다. 우리 이성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진실이 있을 수 있고, 이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파이는 우리에게 두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았던가. 우리는 무한인 파이를 유한하게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있지 않나. 결국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것도 그런 것이 아니었을까. 우리는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건 우리 나름으로 바꿔버린다. 파이가 무한에서 유한으로 바뀌어 받아들여졌듯이. 하지만 마지막에 정당한 판단을 하는 것은 오롯이 각자의 몫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