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一讀 : [2007.2.19]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라는 책의 제목은 얼핏 생각하기에 흔한 사랑얘기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책을 조금만 읽다보면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이 서명은 '나는 누구인가' 와 비등한 위력을 가지는 철학적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피상적으로 드러난 것들에 대해서는 충분히 설명할 수 있지만 결국 그 질문의 핵심은 영원히 알 수 없는 미궁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는 것이 어려운만큼 사랑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리라.

 사랑은 인류 최고 불멸의 주제다. 근래에 들어서 사랑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 같지만 그 원리와 본질의 복잡함에는 접근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사랑과 그 시작점을 같이하는 철학 정도만이 사랑의 설명에 있어서 최소한의 합리성을 유지하고 있다. 소설에서 필자는 이 철학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사랑에 대해서 최소한의 설명을 하려고 노력한다. 정확히는 사랑 전반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자신의 상대(들)에 관한 심리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자신과의 관계에 이용하려는 도구로써 자신의 철학적인 지식을 이용하는 수준이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 대상 범위가 줄었다고 하더라도 그 복잡함의 정도는 결코 덜하지 않음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소설의 기본적인 이야기 구조는 진부하다 싶을 정도로 단순하다. 남녀가 만나고 싸우고 헤어지는 진부한 구성 속에 던져진 주인공은 거의 모든 일을 철학적인 관점에서 해결하려 한다. 무엇하나 결정하고 판단하는데 자신의 모든 철학적 지식을 동원하고 상대를 해석하려는 시도가 독자로 하여금 괴리감을 느끼게 할 정도다. 그렇다고 그의 철학적인 해석들이 항상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그가 했던 철학적 사고의 과정은 최선을 생각하고 있지 않았을지 모르겠다. 철학적으로 해석을 하면서 자신은 '어쩔 수 없었다' 라는 철학적 방어막을 가지게 되니까. 그걸로 그의 사고는 최선을 다한 것이다. 누구나 그랬고, 원래 그런 것이니까.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사랑도 그와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다. 철학적 잣대를 대지 않을을 뿐 그 복잡함과 심도에 있어선 이 어려운 남자보다 더 쉽다고 할 수 없을 듯 하다. 사상가들의 이름이 거론되지 않을 뿐 결국 우리가 하는 사랑이라는 것도 철학적인 판단 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철학을 전공하지 않았기에 다행이지 그랬다면 데이트 한 번에 칸트를 잠자리 한 번에 데카르트를 생각해야되는 상황이 생겼을지도 모르겠다. 아무리 칸트가 어렵고 데카르트가 난해하다 하더라도 사랑보단 쉬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