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과 잘 지내는 법 - 불안은 더 나은 삶을 위한 강력한 자극이다
크리스 코트먼 외 지음, 곽성혜 옮김 / 유노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언제부터 많은 사람들이 공황장애를 겪게 되었는지... 실상 오래 전엔 그런 병이 있는지 조차 모르고 살았었는데. 특히나 그런 병은 유명인들에게서 많이 나타는 데 왜 그럴까?

과거에는 모르고 지났었는데 요즘은 겉으로 드러내서 그런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스트레스에 심하게 노출되어 있어 그런가? 등등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하는 데 그 중 최고는 심해진 경쟁탓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늘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읽어 보면 조금은 덜 힘들지 않을까 싶다.   


지은이는 말한다. "불안은 에너지라고 따라서 그 에너지를 이용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법을 배우라고. 누구나 불안 에너지를 성장 자극으로 바꿀 수 있고 불안이라는 괴물은 내가 허락하는 것 이상의 이빨은 없다"고. 결국은 불안도 스스로 잘 다스릴 수 있다고.


"사람은 불안이 감당할 만하면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압도당하면 무너지고 만다."

"불안은 우리가 더 이상 안전지대에 서 있지 않음을 일깨워 준다. 이것이 뇌가 우리에게 더 성정해야 한다고, 더 배우고 발전해야 한다고 말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불안은 우리에게 할 일이 더 남았다고, 그러니까 성취할 일, 쟁취할 목표, 실현할 꿈이 더 남았다고 말하는 몸의 언어다." 

"스트레스와 불안은 전적으로 자의적이다. 누구에게는 괴로움과 불안의 근원이 되는 일이 누구에게는 평화와 고독의 근원이 된다."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삶의 문제들을 마무리하지 않는 한 평화는 없다는 뜻이다. 끝내지 못한 일들에는 우리의 평형 상태를 방해하고 평화를 뒤흔드는 힘이 있다."

"랜들은 압도당한 상태인 자신의 인식을 극복할 방법을 정했다. 코끼리를 먹는 방법으로 자주 추천되는 방식이었다. 한 번에 한 입씩!"

"통제할 수 없다. 반응할 수 있을 뿐. 모든 관계가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을 통제할 수 없고 나의 반응만 통제할 수 있다."

"문제가 실제가 아님을 깨달을때 불안을 떨칠 수 있다."

"걱정은 보상을 얻고자 취하는 태도이며 행동이다. 걱정은 우리에게 뭔가 할 일을 주고 당장의 문제에 계속 매달리게 한다. 걱정을 내려 놓으면 위험에 노출된 기분이 든다. 바꿔 말해서, 걱정은 보호용 방태 같은 느낌을 준다."

"실제는 중요하지 않다. 신경기관은 사실이 아니라 우리의 인식을 따른다."

"불안 장애를 겪을 때는 반드시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직면하고, 고개를 똑바로 들고 접근해야 적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

"연구들이 입증하듯이 배려하고 지지하고 인정하는 유대관계는 치유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다.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는 것 자체로 치유의 힘이 있다."

"우리는 매일 태어난다. 오늘 하는 일이 가장 소중한 일이다.

지금의 그대는 이제껏 품어 온 생각의 결과이니, 곧 생각이 전부다. 생각하는대로 된다 - 붓다 - "

"떨쳐지지 않는 걱정으로 괴로울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주목하고, 받아들이고, 마음의 문짝지 배웅해 주면 된다. 또 돌아오면? 또 그렇게 한다."

"내 공황을 창조하는 것은 바로 나다. 불안은 위협당한다는 인식에서 생겨나는 데, 공황은 갇혔다는 인식 또는 통제력을 잃었다는 인식에서 생겨난다. 또한 이것이 매우 치명적인 이유는 반복되는 습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정신 나간 소리처럼 들릴 것이다. 하지만 다시 한 번 말하겠다. 우리는 원하는 느낌이나 결과를 주는 것이면 무엇에든 중독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