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 기술 빅뱅이 뒤바꿀 일의 표준과 기회
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김정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읽은 책 중에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려서 읽은 책이다.

4차산업 혁명과 IoT 등이 발달로 많은 부분이 사람이 아닌 다른 그 무엇(로봇, 소프트 웨어 등)으로 인해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 요즘에 우리가 겁내하는 여러 가지들에 대해서 적고 있다. 내 노동력을 제공해서 월급을 받아 경제 활동을 줄기차게 해 온 우리에게 설 자리가 없어져가는 요즘.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두려움이 많았는데 책을 읽으면서 어느 정도 더 예측이 되고 방향성도 잡히는 기분이다.

보편적 기본 소득에 대한 이야기, 앞으로 정부는 생산 보다는 분배에 더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이라는 것. 그럴 경우 무조건적인 보편적 기본 소득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나테햊고 일하지 않는)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이런 문제에 대해 지은이 나름대로 논리를 펼치고 있다.

처음으로 확! 줄어든 일자리에 어떻게 대처하면서 뭘 어떻게 준비해야 할 지에 대해서 조금은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아 끝은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흠~ 막연하게 불안하게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한 번쯤 읽어 보고 생각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우리가 걱정해야 할 미래는 어떤 사람들이 예측하듯이 일이 완전히 사라진 세상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일하기에는 일거리가 부족한 세상이다."

"데이비드 오터의 말대로, 사람들은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수준은 과장하고, 자동차와 인간 노동의 강력한 상호 보완성은 무시'하곤 했다."

"산업혁명 이우 새 기계들은 과거에는 숙련 노동자들이 필요했떤 고품질 제품을 미숙련자들도 생산하기 쉽게 만들어, 노동을 탈숙련화(deskilling)한다."

"도대체 왜 저임금, 저숙련 일자리도 '틀에 박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을까? 이런 일자리가 대개 서비스 분야에 속했으므로 서비스를 제공할 대인 관계능력을 규칙에 담아내기 어렵다는 점이 이유라면 이유였다. 하지만 그보다는 저임금 일자리가 대개 손기술이 필요해 자동화하기 어려웠다는 점이 더 큰 이유였다."

"정확히 말하면, 모든 일자리는 여러 업무로 구성되고, 이 가운데 어떤 업무가 다른 업무보다 자동화되기가 훨씬 쉬울 뿐이다. 또 시간이 흐르면 특정 직업을 구성하는 업무가 으레 바뀐다는 사실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30년 전과 업무가 똑같은 일자리는 있지도 않거니와 설사 있다고 해도 아주 드물다."

"알고리즘이란 여러 단계에 걸친 명령어 집합을 뜻할 뿐이다."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이 세 가지 마찰은 숙련 기술의 불일치, 정체성의 불일치, 장소의 불일치다."

"소득 증가가 상품 수요 중가로는 이어지겠지만 반드시 노동 수요를 늘리지는 않는다. 영국과 미국의 농업과 제조업에서는 상품 수요와 노동 수요가 이미 다른 추세를 보인다. 골치 아픈 문제는 업무 잠식이 이어질수록 이런 현상이 다른 경제 영역에서도 벌어지리라는 것이다."

"소득 불평등이 커지는 까닭은 인적 자본과 전통 자본의 수익이 길수록 불공평하게 분배되기 때문이다."

"기술은 기업들이 노동보다 전통 자본을 더 많이 이용하는 쪽으로 바뀌도록 부추켰다."

"어떤 업무에서 기계보다 우위를 유지하고자 끝없이 몸부림치는 경쟁은 영원히 이어진다."

"이제 평생 시시때때로 교육받는 것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는 앞으로 끊임없이 재교육을 받아야 할 것이다."

"정부를 이용해 모든 사람이 파이를 나눠 갖도록 보장하자는 것이다. 달리 말해 큰 정보가 맡을 역할은 생산이 아니라 분배다."

"큰 정보가 맡아야 할 주요 역할은 두 가지다. 첫째, 앞으로 용케도 가치 있는 자산과 소득을 유지하는 사람들에게 세금을 크게 매겨야 한다. 둘째, 그렇게 모든 돈을 자산과 소득이 없는 사람과 나누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보편적 기본 소득, 기본 소득에 반드시 자격 요건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동체를 위해 일 대신 다른 무서을 하라고 요구해야 한다."

"자본을 분배하는 정부, 그중 하나가 애초에 소득이 생기는 출처, 가치 있는 자본 자체를 분배하는 것이다."

"길항력이라는 용어는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가 만든 것으로 경제력의 집중을 억제하는 힘을 가르친다. 21세기에는 노동자들이 행사하는 길항력이 줄어들므로 정부가 개입해 노동자 대신 길항력을 행사해야 한다."

"노동을 지원하는 정부의 마지막 역할은 더 직접적이다, 이 정부는 새로운 형태의 노동 조직이 출현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21세기에는 노동조합이 노동자가 기술 변화에 대응하도록 도와야 할뿐더러 그런 신기술을 이용해 노조가 활동하는 방식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

"날이 갈수록 분열하는 사회가 무너지지 않도록 막으려면 결국 소득을 분배하는 정보, 자본을 분배하는 정부, 노동을 지원하는 정보를 조합한 큰 정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정치는 우리가 사회 안에서 어떻게 함께 살아갈지를 다룬다. 전통적 정치 과정에서 말하는 사람과 제도뿐 아니라, 우리의 집단 생활을 결정하는 갖가지 힘을 모두 다룬다. 우리가 무엇을 가리켜 정치적이라고 말 할 때 그것이 무척 중요하단 뜻인 까닭도 이때문이다."

"제인스가 걱정한 대로 '어떤 나라도, 어떤 사람도 여가의 시대와 풍요의 시대를 두려움 없이 기쁜 마음으로 기대할 능력이 없다. 우리가 즐기기보다 죽어라 애쓰도록 너무 오랫동안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는 이들을 노동자로 훈련할 필요가 없을지 몸른다. 그때는 젊은이들에게 일이 아니라 여가를 이용해 성공한 삶을 사는 법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시장이 매긴 임금이 아닌 공동체의 인정에 따라 가치를 배분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 이런 요건을 모두 이행한다면 우리는 조건적 기본 소득에서도 집에 월급봉투를 가져갈 때와 그리 다르지 않은 자기 만족을 얻게 된다. 비록 다른 방식이기는 하지만, 자신의 생활비를 번다는 뿌듯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