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 -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
프란스 드 발 지음, 최재천.안재하 옮김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감의 시대"라는 책 이름에 혹! 해서 일게 된 책인데... 책 내용을 좀 살펴 보고 선택할걸 하는 생각도 했다. 내가 생각했던 내용과 달라서 조금 당황스럽기도 했다. 고정관념이 발동한 탓에 겪게 된 상황이지만 그로써 다시금 고정관념에 대한 반성을 하게 한 책이다. 일단 내용은 사람 중심의 공감이 아니라 공감이란 핵심어에 대한 동물 관찰을 통해 공감이 이제 대두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물들의 모습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그 중에 사람도 속해 있는 것이고. 관찰 대상이었던 유인원, 침팬지, 보노보노 등등. 과거 심리학자들과 동물학자들이 다른 관점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평상 시에 접해 보지 못한 내용들이 한가득이라서...
읽으면서 공감되었던 내용을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삶에 대한 투쟁이 자연의 본질이니 우리도 이렇게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누구도 믿지 마시라. 자연 속의 많은 동물들은 서로를 짓밟거나 자기 것만 챙겨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협동하고 공유하며 살아 남는다."
"유대감은 분명히 우리가 생존한느 데 굉장한 가치를 지니며, 특히 어미와 자식 사이의 유대가 가장 결정적이다.어미 자식간의 유대 관계는 어른들 간의 유대 관계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애착 관계의 진화적인 원형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사랑에 빠지면 부모-자식 간의 유대 관계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보여, 서로 한 입씩 먹여주며 마치 혼자서는 못 먹는 것처럼 상채를 대하고, 유치한 말을 하며 아기를 대할 때 쓰는 높은 음으로 말하는 것은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우리는 사회적인 다리와 이기적인 다리라는 두 개의 다리로 걷는다. 우리는 지위와 수입의 격차를 어느 정도까지만 인내하고, 이 선을 넘는 순간 약자를 지지하기 시작한다. 우리는 평등주의자로 산 긴 역사 동안 깊숙이 배인 공정함의 감각을 갖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