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그 자체 - 40억년 전 어느 날의 우연
프랜시스 크릭 지음, 김명남 옮김, 이인식 해제 / 김영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초의 생명체가 깨어난 시간이 40억 년 전 어느 날이라고 한다. 우주, 지구와 관련된 이야기들은 늘 신비롭고 놀랍다. 우주에는 무수히 많은 별들이 존재하고 그 어느 별에서는 지구에 사는 인간보다 앞선 문명을 가진 생명체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에 인류가 진화론처럼 진화를 거듭하였는지를 비롯한 궁금증에 의문이 있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프랜시스 크릭이 말하는 인류에 대한 이야기는 분명 흥미롭고 놀라우며 다소 어렵게 여겨지는 면이 있지만 재미도 있다. 이제까지 내가 본 인류와 관련된 이야기 중에서 재미 면에서는 세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흥미롭다. 다만 행성들의 탄생이나 복잡한 화학 원소들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학창시절에 느꼈듯이 쉽지는 않다. 인류의 탄생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가에 늘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견해의 차이가 있다고 알고 있다. 진화론처럼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점점 발전된 인류와 문명을 갖게 된 것인지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다. 특히나 이 책에서 말하는 '씨앗 번재설' 또는 '정향 범종설'이란 낯선 주장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생명이란 것이 지구에 있던 존재가 아니라 태양계의 다른 행상으로부터 지구에 알 수 없는 생명의 씨앗 역할을 하는 미생물이 날아왔다는 생소하고 낯선 주장이 이 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생명의 기원에 접근하는 한 가지 좋은 방법은 이 놀라운 통일성이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는가를 상상해 보는 것이다.    -p66-


현재의 인류가 만들어진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는 아무래도 진화론이다. 어떤 식으로 존재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보면 복제와 돌연변이를 통해서라고 할 수 있다. 생명체 자체가 복제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복제에 필요한 요건들도 간접적으로 복사될 수 있어야 한다. 유전자 중 하나에 의해 돌연변이가 일어나 경쟁에서 승리한 유전자의 후손들이 결국에는 개체 전체를 점령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새롭고 유리한 돌이변이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진다.  


생명의 고등 형태가 진화할 수 있으려면 반드시 표준 단위들로 만든 확장된 조합이 안정되게 존재해야 한다. -p84-


우주 저 너머의 생명체가 다른 행성에 도착하더라도 그곳에서 새로운 터전을 잡고 살아가는 데는 여러가지로 불리했을 거란 이야기에 나 역시도 그럴 거란 생각이 든다. 우리의 과학이 급속히 발전해 다른 행성에 간다고 해도 그곳에 적응하기에는 여러가지 위험 요소가 있을 것이다. 그러기에 우주 저 너머의 생명체 역시 지구 등의 행성에 나가려는 노력을 했지만 여의치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처음에 말한 것처럼 장기적 정향 범종설을 통해 작은 미생물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택했을 수도 있다는 글을 보며 그럼 우리가 미처 모르지만 외계 생명체가 어딘가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사실 무섭다.


행성과 세균, 다른 행성 등에 대한 이야기를 보며 지구란 행성과 인류란 존재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현재 사람들은 지구 바께 다른 행성에 대한 관심도 높고 그곳에 어떤 생명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알려고 한다.


우주의 발생을 완전히 파헤치기는 어려운 문제다. 인간만이 뛰어난 영장류라는 생각을 하는 것은 섣부른 생각일 수 있다. 우주 저 너머의 생명체에 대해 아직도 밝혀야 할 것들이 많고 계속되는 우주 탐사를 통해 조금 더 생명의 진후에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완전히 책을 이해하였다고 말하기는 많이 부족하고 어렵지만 과학적인 견해와 저자만의 가설을 통해 들려주는 우주, 지구, 미지의 생명체 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