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애하는 개자식에게
비르지니 데팡트 지음, 김미정 옮김 / 비채 / 2025년 3월
평점 :
소설은 성폭력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미투운동, 성소수자, 외모지향주의, 현대인의 고독 등을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서술한다. 특히 그들의 소통 방식이 시종일관 이메일이라는 점, 그리고 팬데믹에 의한 거리두기와 봉쇄로 인해 서로 거의 대면하지 않는다는 설정은 개개인의 정서적.물리적 고립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오스카가 쓴 메일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혼자 중얼거린 말은, "가지가지한다"였다. 그는 한마디로 종합세트다. 직장 내 성추행, 알코올 및 마약 중독 등 두루두루 갖추고 있는데다가 변명이랍시고 하는 말들은 가관이다. 조에를 열렬히 좋아하고 그녀와 연인 관계가 되고 싶어 끈질기게 치근덕거린 건 사실이지만 무언가를 억지로 강요한 적은 없었다고 항변한다. 특히 그 기간은 고작(!) 3개월이었고, 조에가 불쾌해할만한 일이라면 가볍게(?!) 억지로 그녀의 입에 입맞춤한 정도가 전부라고 말하면서 그것도 술기운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한 오히려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백인 남성의 화신이 되어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면서 덫에 걸린거라고 억울해 한다. 한마디로 자신은 여자나 후리는 난봉꾼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오스카의 오랜 지인인 프랑수아즈는 모든 강간범이 그와 똑같은 말을 한다고 대꾸한다. 즉 오스카가 아주 특별한 사례가 아니라 대부분의 성범죄자들이 따르는 수순이자 핑계라는 것이다. 그가 유년 시절부터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구구절절 늘어놓지만 거의 공감하기 어렵다.
작가는 현실 속 성폭력 현장을 가상의 이십대 여성 조에를 통해 서술한다. 세상은 여성의 성적 욕구를 억압하며 족쇄를 채우고, 여성의 성욕을 부정하기 위해 성폭력을 수단으로 사용한다. 작가는 소설에서 이 점에 대해 '투우장에 끌려온 황소나 다름 없다(p35)'고 쓰는데, 이 부분을 읽다보면 많은 독자들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레베카의 말들 중에서 크게 동감하는 부분은 '교육'이다. 레베카는 근본적인 원인을 교육의 문제에 두고 있다. 당연시 여겨지는 모성애, 대등하지 못한 성적 관계, 여성의 정숙함, 희생자에게 씌어지는 가해자 프레임, 사회적 살인의 용인, 부지불식간의 남성우월주의, 강요된 행복 등 대부분 일상이나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가스라이팅에 가깝게 학습되어진다는 것이다. 누구에게? 모든 젠더에게. 페미니스트를 향한 비난을 쏟아내는 이들은 비단 남성뿐만이 아니다. 기성 세대 여성들은 조에가 겪은 일이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고 다들 잘 넘겨왔으니 유난 떨지 말라고 말한다. 그들은 왜 이렇게 말하는 것일까?
오스카가 자신의 억울하고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는 상대가 레베카라는 사실은 의외다. 레베카 역시 전적으로 조에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입장이고, 오스카의 잘못이 무엇인지를 따박따박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카는 레베카에게 지속적으로 이메일을 보낸다. 그 이유는 아마도 공감이 아닐까싶다. 레베카는 처음에는 굉장히 분노하지만 이메일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자신의 마약 중독 경험담을 이야기하며 오스카에게 공감의 메시지를 보내고, 진심어린 충고(와 경고도 함께)를 전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이와 같은 '대화'가 아닐까. 사실을 인지하고, 제대로 알지 못해 저지른 잘못을 인정하고, 해법을 의논하고, 때때로 상대를 향해 분노를 터뜨릴지라도 끊임없이 상호이해가 가능한 길을 모색하는 과정을 함께 얘기해야하는 것. 그래서 조에처럼 메아리만 울리는 일방적 외침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는 것. 자신 유약한 인간일뿐이라고 말하는 레베카가 오스카에게 건네는 진심어린 충고는 젠더와 계급을 넘어서 우리 모두를 향하고 있다.
ㅡ
21세기, 지금은 노출의 시대다. 그만큼 위험은 더 커진다. 더 자극적인 노출을 시도하면서 한편으로는 사생활 보호를 외치는 이 역설적이고 기괴한 사회 현상. 레베카와 오스카, 두 사람 다 중독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말한다. 폭력 중독, 권력 중독, 차별 중독, 분노 중독, 학벌 중독, 성공 중독, 외모 중독, 자극 중독, 혐오 중독. 우리는 의식하지 못한 채 수많은 중독에 노출되어 있고 의심없이 흡수하고 있는 중이다. 그야말로 이성을 잃어버린 중독의 시대.
조에는 성범죄자의 이름이 공공연하게 알려질 때, 그를 법정에 세우는 일도 중요하지만 집단적으로 책임을 묻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한다. 방관하는 자, 침묵하는 자, 그들이 자신이 본 것을 증언하고 사과하고 개선될 수 있도록, 그래서 반성하지 않고 개선하지 않는 자들은 집단 내에서 몰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 소설에서 정말 안타까운 점은, 오스카는 자신이 조에에게 무슨 짓을 했는지 끝까지 선명하게 이해하지 못한하는 것이다. 다만 레베카와의 대화를 통해 하나하나 복기하면서 서서히(너무 느리게) 자신이 개자식이었음을 깨달아가는데, 그마저도 반성하는 자신을 착한 남자라고 스스로를 위로하고 페미니즘을 이해하고 있다는 착각을 하며 일상의 안정을 찾아간다. 정신병원 입퇴원을 반복하며 여전히 투쟁 중인 피해자 조에와 자신을 꽤 괜찮은 남자라고 자위하는 가해자 오스카. 이러한 대비에서 오는 씁쓸함은 소설이 아닌 현실이다.
※ 도서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