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드랜드
제시카 브루더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널리스트 제시카 브루더가 고정된 주거지 없이 자동차에서 생활하며 떠돌이 임시 임금 노동자로 생활하는 노마드들을 취재하고 경험한 3년 간의 기록이다. 이 이야기 중심에는 저자와 각별히 교감을 나눈 예순네 살 여성 린다 메이가 있고, 그녀의 주변 혹은 그녀가 머물렀던 장소에서 만난 많은 노마드 들이 등장한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노마드 들은 2008년 전후에 일어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파산한 사람들로서 연령은 60대 이후가 주를 이룬다. 그들은 한때 높은 학위와 전문 분야의 일자리를 갖고 있었고 은퇴 후 안정된 노후를 기대했던 사람들이었으나 경제 대붕괴로 한순간에 주거지를 잃고 노년에 임시 저임금 노동자로 내몰렸다. 임금과 주거 비용의 상승률이 반비례하는 현상에 과감히 '집'을 포기함으로써 집세, 주택 융자금, 공공 설비 사용비의 족쇄를 부순 사람들의 이야기다.









 
 
노마드 들은 아마존닷컴 물류 센타, 설탕 공장, 캠프장 관리 등 고강도 육체 노동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고용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 고용주 입장에서 이들만큼 효율적인 인력이 없다. 부담없는 저임금과 어느 순간 해고를 해도 문제될 것이 없고 수월한 인력 보충으로 아마존은 캠퍼포스를 브랜드화하기까지 했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로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현재, 노마드가 아니더라도 일반 급여 노동자로서 중산층이 될 수 없는 시절에, 노년으로 접어든 사람들은 일을 쉴 수 없는 처지가 되어버렸다. 하물며 모든 자산이 날아가버리고 오직 밴 한 대가 전부인 이들에게는 말할 것도 없다. 그야말로 은퇴의 종말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노년 세대에서만 나타나지 않는다. 저자가 만난 노마드 중에는 젊은 세대도 적지 않다. 학자금 대출은 점점 늘어나고 대학 학위를 취득해도 취업이 어렵거나 고용의 질이 떨어지니 졸업에 회의를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소득을 늘릴 수 없다면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다. 그들은 비용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주거비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RV에 몸을 싣는다. 노마드의 진입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린다의 딸 가족 역시 집세를 감당하기 어려워 노마드가 됐다.



스스로를 노예 노동자라고 일컫는 77세 워캠퍼 데이비드와 '우리 사회의 불가촉 천민'이라고 쓴 라본같은 사람이 있는가하면, 자신을 현대의 여행자요 집시라고 지칭하는 돈 휠러도 있다. 물론 사회의 관습이 모든 사람에게 일관된 행복의 기준이 될 수는 없다. 그리고 사회 규범을 잘 지켜도 안정적인 삶이 보장되지  않는다. 밥처럼 오히려 노마드 생활로 행복해졌다고 말하는 이들도 많고, 린다는 노마드가 된 뒤로 삶을 즐기게 됐다고 말한다. 책을 읽다보면 낭만적인 생각에 젖어드는 순간이 있다. 비록 처음에는 생존을 위해 시작한 이 생활 방식이 점점 더 그들을 끈끈한 연대로 결속시키며 이타심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그러나 노마드 사회 안에서도 크지 않지만 인종 차별이 존재하고, 급여나 육체 노동에 있어서 여성에게 취약한 환경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노마드 규모가 커지면서 그들을 '홈리스'로 사회적 낙인을 찍은 미국 정부는 다수의 도시에서 차량 숙박을 금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주차장에 차는 세울 수 있지만, 사람은 안 된다는 것이다. 미디어 역시 타이어 떠돌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인터뷰한 대다수의 노마드 들은 주류 주거 형태로 돌아가지 않을 생각이라고 대답했다. 장애인 복지 수당으로 살아가는 RTR 노마드 데이비드의 말에 의하면 자신은 '하우스 리스' 일뿐 '홈리스'는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면 자유롭고 낭만적인 생각을 걷어내고 좀더 냉정하게 짚어보자.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든 그들은 재정적 위기에 몰러 집을 포기한 사람들이다. 60대 이후에 상상할 수 없는 육체적 고통을 감당하면서 적은 임금과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일을 하고, 병이 나면 의료비는 큰 부담이다. 또한 집 역할을 하는 자동차가 고장나면 그에 따른 수리비 마련도 엄청나다. 무엇보다 그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인생의 마지막 순간이다. 이 모든 상황을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어야 할까. 일평생 열심히 일한 예순네 살 여성이 머무를 집 한 채 없이, 노년에 저임금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며 떠돌이로 살아야하는 사회가 정상인가?  



미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남의 일이라고 느껴지지 않는 부분이 꽤 많다. 어지간해서는 중산층 진입이 어렵고, 기업 의존형 마을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 여전한 고용 불안정으로 임시직을 전전해야 하는 수많은 노동자들, 중년까지 자녀 교육에 올인하느라 노후 대책이 전무한 중년층, 취업난으로 졸업을 하지 않은 채 영원히 '생(대학생, 대학원생, 휴학생, 취준생)'으로 남아있는 청년층 등. 계속 살아가기 위해 당신은 이 삶의 어떤 부분을 포기하겠냐는 질문에 마땅한 답이 떠오르지 않았다. 예순네 살 린다의 꿈은 어스십이다. 그녀가 어스십을 짓기 위해 굴삭기로 퍼올리는 흙은 희망의 다른 이름이다. 그녀의 꿈이, 연대가 이루어지기를 기원한다.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1-10-14 16: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스십 좀 찾아보았어요.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집이네요. 대단한 공동체입니다. 벌써 70년대부터 지었다니 놀랍구요. 리뷰 잘 읽었어요 ^^

사율 2021-10-15 08:20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이번 기회에 어스십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