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시대에는 어떤 관청이 있었을까? - 나랏일 돌보던 곳, 관청 이야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역사 깊이 읽기 ㅣ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넓게 보기 1
박영규 지음, 구연산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2월
평점 :
이 책은 조선시대에 있었던 관청을 적은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간략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내수사는 궁궐에서 쓰이는 물품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이조에 소속되어 있었다. 왕실의 쌀, 베, 잡화, 노비 등 실질적인 왕의 재산을 관리하는 곳으로, 이곳 관원의 대부분은 내시들이었다. 한편 내수사에서는 궁녀를 뽑는 일에도 관여했으며, 죄를 지은 내시나 궁녀를 내수사 옥에 가두는 일도 맡았었다. 이는 내시나 궁녀도 왕에게 딸린 재산처럼 여겨졌다는 것을 말해준다. 얼핏 생각하면 나라의 재산은 왕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았었다. 왕의 의식주에 필요한 경비도 국가 기관에서 정했었다. 그런데 이렇게 정해진 경비 외에 왕 자신이 따로 써야 할 돈이 필요하기도 했다. 이를테면 공주들이나 왕자들을 도와준다든지, 절에 시주를 한다든지, 또는 손자들에게 용돈을 준다든지 등등 부모님 또는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돈이 필요한 이유와 똑같다. 이런 돈을 비밀스러운 돈이라고 해서 비자금이라고 한다.
이 내용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내수사는 과연 몇 명이였는지, 내수사는 이 외에도 다른 일을 하였는지가 궁금하였다. 이유는 내수사는 아주 많은 일을 해내었었고, 또한 그 많은 일을 다 끝낼려면 많은 수의 사람들이 필요헸을텐데 그 많은 사람들이 다른 일을 하였는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6조는 실제로 정무를 맡아 처리하던 큰 집행 기관 여섯 곳을 말한다. 고려시대에는 이조, 병조, 호조, 형조, 예조, 공조 순이었다. 그런데 유교 국가인 조선에 들어와서 주희가 지은 주례의 순에 따라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순으로 차례를 바꾸었다. 6조에는 당상관으로 판서, 참판, 참의가 있었는데, 병조에만 '참지'라는 당상관이 하나 더 들어있다. 당상관 밑에는 낭청이라 불리는 정랑과 좌랑이 있어 실질적인 사무를 담당했다. 정랑과 좌랑이야말로 행정부의 꽃이라 부를 수 있는 관직이었다. 이자리에는 젊고 학식이 풍부하며 청렴한 인재를 앉혔기에 훗날 이들이 정승, 판서의 자리에 오르는 일이 많았다.
이 내용을 보면서 6조에서는 6명의 관직이 있다고 생각하였지만 법율의 뜻이 여섯개 였고, 또한 정랑과 좌랑의 존재감과 그들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뿌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