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과테말라, 파나마, 코스타리카 외에도 몇몇의 여러 나라들을 적은 책이다. 이 내용을 보면서 내가 알지 못했던 나라도, 그나라의 여러 행사 등의 신기한 모습을 알게되었다. 전 이 책을 일고, 알게된 점을 적어보았다. 

  중앙 아메리카는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 대륙을 이우 주는 좁은 땅이다. 카리브 해와 태평양 사이에 있다.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좁은 곳은 파나마 지협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올수록 점차 좁아지는 게 꼭 혀처럼 생기기도 하였다. 중앙 아메리카에서도 태평양에 면해 있는 쪽은 연기가 피어오르는 화산이 죽 늘어서 있다. 그래서 화산이 폭발하거나 지진이 자주 많이 일어난다. 또 이곳에는 커피와 바나나가 많이 나온다. 다른 나라에도 많은 수출을 하기도 한다. 커피와 바나나를 실어 나라기 위해 철도와 항구도 만들어지게 되었다.  

  앤틸리스 제도에는 일년 내내 따뜻해서 살기가 좋다고 한다. 야자나무 열매인 코코넛에서는 시원한 음료가 넘쳐 흐르고 았다. 또 이곳에서는 옛날에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 사람들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면서 추던 춤들이 많이 남아있다. '맘보', 메렝게', '살사'가 모두 이곳에서 생긴 춤들이다. 맘보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유럽에 널리 퍼지기고 했었다. 점점 낮아지는 막대 아래를 춤추며 지나가는 '림보'는, 원래 사람이 죽었을 때 추었던 슬픈 춤이라고 한다. 또 지도에는 초승달 모양의 소앤틸리스 제도가 있다. 소앤틸리스 제도에는 열두 개의 섬 나라 외에도 백여 개에 이르는 크고 작은 섬들이 자리잡고 있다. 앤틸리스라는 이름은 본디 유럽과 아메리카 사이에 있다는 전설의 섬인 '앤틸리아'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 내용을 보면서 내가 알지 못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이 너무나 많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 내용을 보면서 이 지역에 있는 풍습이 여러 나라에 퍼졌다고 하는데, 그 풍습을 우리들만의 것이 아닌 이곳의 고유된 모습이라고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쓰레기의 행복한 여행 - 수거에서 재활용까지 지식의 씨앗 시리즈 2
제라르 베르톨리니.클레르 드라랑드 지음, 유하경 옮김, 니콜라 우베쉬 그림 / 사계절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여러나라의 사람들이 쓰레기를 어떻게 처분하였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놓은 책이다. 전 쓰레기도 예전부터 쓰레기통이라는 규정된 통에 버렸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지만 이 책을 보면서 쓰레기의 분리과정도 역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전 유럽에서는 쓰레기를 길거리 아무데나 바리고 다녔다. 그래서 길거리에는 항상 쓰레기와 그로인한 악취가 진동하였고, 사람들은 배설물 까지도 길거리에다 버렸다.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질병에 걸려 죽자 그 유럽나라의 왕은 도시의 쓰레기를 모두 사람이 없는 외딴곳에 버리도록 하고, 배설물 또한 다른 일정한 구역에 버리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로인하여 도시는 다시 깨끗해졌고 사람들은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시작했다. 상품을 사고 난 뒤의 포장도 다시 사용하여 또 다른 물건을 포장하는데 쓰였고, 헌 옷도 다른 어떠한 천으로 땜빵을 하던지 아니면 이불보나 행주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이처럼 쓰레기를 재활용하면서 살다보니 쓰레기는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지만 사람들은 질병에 많이 시달렸다.  

   이 내용을 보면 유럽인 사람들은 더럽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서 썼던 물건을 또 쓰고 그 물건을 다시 쓰고 그 물건이 더러워져도 버리지 않고 계속 썼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재활용 하는 것도 좋지만 너무 더러워지면 버려야 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럽에는 1884년 최초로 양철로 된 쓰레기 통이 계발되면서 재활용을 하던 사람들도 어느정도 쓰게되면 저양철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면서 유럽인들은 질병에 쉽게 걸리는 일이 별로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1961년에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최초로 시작되었는데 지금처럼 복잡하지 않고 그냥 도시에 있는 쓰레기를 청소하여 어떤 외딴곳에 버리고 배설물을 땅에 거름이 되는 정도로만 아주 미약한 쓰레기 처리법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 내용을 보면서 역시 선진국이니 이러한 사소한 쓰레기 처리에서도 뒤쳐진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유럽은 이런 저런한 경험을 겪게 되면서 양철로 된 쓰레기통을 만들게 된 것도 경험이 있어야지만 된다는 생각도 들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들번들 빛나리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16
닉 아놀드 지음, 이충호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전기와 빛에 대한 이야기를 적은 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알지 못하고 있던 전기와 빛 이야기까지 적은 책으로 빛과 전기에 대해 모르고 있던 사실을 알게 되다. 저는 이 책을 읽고, 전기나 빛을 내는 동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하여 써 보았다. 

  전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체내 전기라는 것이 있다. 체내 전기는 우리 몸 곳에는 크리스마스 트리의 꼬마전구를 밝힐 만큼 많은 전기가 흐르고 있다. 전기는 주로 신경 계통에서 발견이 된다고 하였다. 신경 신호는 양전하를 띤 원자들이 신경 속으로 몰려갈 때 발생이 된다. 전기의 힘을 감지하는 동물도 있다. 그리고 몸에 전기가 아주 많이 흐르는 사람들과 동물들도 있다고 한다. 또 전기에 많이 예민한 동물들도 있는데 그중에는 귀상어가 있다. 귀상어와 같은 상어들은 먹이의 신경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귀상어는 괴상한 모양의 머리에 감각기가 달려있는데, 그럿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감지한다. 그런데 귀상어의 이 감각기관은 너무 예민하여 불필요한 전파까 감지하여 사람까지 공격을 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침개미라는 것도 있는데 이 개미는 전기를 무지무지 싫어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전기를 감지 할 수 있는 기관이 무척 발달되어져 있다고 한다. 이 침개미는 전기가 싫어서 전기가 흐르는 전선같은것을 물어 뜯어서 잘라버린다고 한다.또한 전기를 내는 동물중 가장 많은 전기를 내는 동물은 전기뱀장어가 있다. 전기뱀장어는 뇌가 특별한 기관에 전류의 흐름을 촉발시키면, 전기뱀장어의 몸 앞쪽은 양전하를 띠고, 뒤쪽은 음전하를 띠게 된다. 또한, 전기뱀장어는 전기 신호를 발사하여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함으로써 진흙투성이의 물 속을 잘 헤쳐 나간다. 그 위력으로는 600V에 이르는 고압 전류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은 물고기를 죽이거나 사람을 기절시킬 정도의 위력으로 위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하! 그땐 이런 문화재가 있었군요 위풍당당 만화도서관 9
지호진 지음, 김재일.김영곤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들을 적어놓은 책 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중 세가지를 정리하여 썼습니다.   

  팔만대장경판의 본 이름은 고려대장경이다. 국보 제32호이  고려대장경은 몽공이 우리나라에 처들어 왔을때 13명의 스님들이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들을 몰아내기 위해 만든 것이다. 고려대장경은 부처의 말을 목판에 새긴 것이다. 목판의 개수는81,258장이나 되서 팔만대장경판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파만대장경은 목판 인쇄로 만들어졌다. 목판 인쇄란 책의 내용을 목판에 한 자, 한 자 세겨 왼쇄하는 것이다. 팔만대장경판이 다 만들어지기까지는 16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그때는 고종 38년인 1251년 이였다. 즉 700년도 더 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지금은 장경판전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창덕궁은 조선 시대 때 지어진 궁궐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 한양의 중심 궁궐은 경복궁이었고 창덕궁은 임금이 가끔 찾아와 머무는 궁궐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끝나고 불터 버린 창벅궁을 경복궁보다 먼저 복구하여 중심 궁궐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창덕궁은 현재 남아 있는 조선의 궁궐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고 자연 환경과 아름다게 조화를 이뤄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성의 첫 번째 왕인 태조에서 철종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각 왕별로 기록한 책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오핸 시간 동안의 역사를 기록한 실록이다. 총 1,893권 888책에 달하는 엄청난 분량으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의 정치와 사회, 일반 백성들의 생활뿐만 아니라 당시 주변 국가와의 관계까지도 자세히 기록되어서 동양 역사를 연구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로 이용된다. 선조들의 훌륭한 자료로 보여주는 조선왕조실록은 1973년에 국보 제 151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은 여러나라의 성과 요세를 적은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네덜란드, 벨기에등 여러나라를 간략하게 정리하여 썼습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룩셈부르크는 모두 다 이웃나라 들이다. 이 세 나라들은 모두 동맹하여 동맹의 이름은 '벨넬룩스'로 정해졌다. 이 세 나라는 다른 나라로 물건을 사고 팔러 갈 때에 돈을 낸다는 것이 번거로워서 이러한 이유로는 통행료를 내지 않는다. 이 벨넬룩스 중에서 땅이 가장 낮은 나라는 네덜란드 이다. 네덜란드의 땅 높이는 바다보다 6미터 정도 더 낮다. 이러한 땅을 만들기 위해서는 둑과 폄프, 배수로를 이용하여 바닷물에 잠기지 않고 바닷물을 빼내었다.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꽃은 튤립이다. 네덜란드의 하슬렘의 넓은 광장에서는 언제나 큰 꽃행사를 한다. 광장 바닥에 튤립으로 문자와 그림을 만들어 새겨놓는데 이로 인하여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또 네덜란드 에서는 물 위에 집을 지어서 사는 사람들도 있다.하지만 그리 많지는 않다. 그 이유는 돈도 더 많이 들고, 관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네덜란드는 땅에 남아있는 물을 내기 위해 오랜 세월 동안 아르키메스의 나선형 펌프를 사용했다. 이 펌프의 원통 안에 꽈배기처럼 빙빙 감겨 있는 긴 나사를 이용하여 물을 내는 원리이다. 나사가 돌아가면 나사의 아래쪽에 있던 물이 나사를 따라 점점 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결국 물은 원통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예전에는 풍차에 이나선형 펌프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라벨라는 중세 시대에는 유럽에서 옷감이 들어오는 중요한 항구였다. 하지만 강 어쉬에 모래가 쌓여 사면서 항구로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벨기에에서 쓰는 말은 지역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북쪽 플랑드르 지방에서는 플라망어를, 남쪽의 왈론 지방에서는 왈론어를 쓴다. 또한 프랑스 어와 독일어를 쓰는 곳도 조금 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세 나라의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많은것을 알게되었다. 또한 네덜란드의 땅 높이가 바다의 높이보다 낮다는 것이 정말로 인상적이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지식이 차곡차곡 쌓여가는것이 기분이 좋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