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소설가는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지명도가 없는 편입니다.그래도 이윤기 씨 덕에 움베르토 에코의 작품은 읽은 사람이 꽤 됩니다만 역시 에코보다는 선배 격인 알베르토 모라비아의 작품은 이윤기 씨의 번역(창녀 아드리안)이 있어도 에코 작품에 비해선 통 팔리지가 않았습니다.이념문제를 파헤친 이그네치오 실로네 <빵과 포도주>도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닙니다.그러니 2차대전이 끝나자 유행이 지나버렸다는 평가를 받은 가브리엘 다눈치오의 소설을 읽은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초중고등학교 시절 오로지 시험문제 풀이를 위해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만을 봐야 하는 한국인들에게 그런 책 외에 신문잡지나 읽으면 다행입니다.그래도 숨 쉴 구멍이 있는 게 입시용 독서인데, 쉽게 말해 국어 시험 준비에 필요한 단편소설 읽기입니다.그런 작품 중 하나가 황순원,김동인,김동리,김동인,현진건,채만식...등등인데, 염상섭 역시 사실주의니 자연주의니 하는 문예사조를 거론하면서 나옵니다.그래서 억지로 한 번 씩 읽는 작품이 '표본실의 청개구리'인데 이게 뭔가...하는 느낌이 드는 작품입니다.일제시대에 상위 몇%에 들만한 배운 놈들이 나와서 뭐라 뭐라 잘 알지도 못할 말을 늘어놓는구나...그런 느낌이 들었지요.
이 단편 초반에 친구들끼리 평양여행을 가는 장면이 나옵니다.성벽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데 친구인 H가 한마디 합니다."그렇게 내려다 보고 있는 것을 보니 이포리가 없는 게 한이로군..."하는 장면이 있습니다.그러자 주인공은 "내가 조르지오..." 라고 합니다.이 장면에서 나오는 이포리와 조르지오가 다눈치오의 <죽음의 승리>에 나오는 여자와 남자 주인공 이름입니다.이포리가 유부녀이고 둘은 극한의 격정적 애정을 나누는데 마지막에 절벽에서 서로 껴안고 자살합니다.일제시대에도 다눈치오의 작품이 일부 계층에나마 알려졌다는 증거가 '표본실의 청개구리'의 이 장면에 나오는 것이지요.
그런데 내가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처음 읽었던 고등학교 시절, 나는 위에 인용한 장면이 있는지도 몰랐습니다.뭐...희한한 소설이로군...하고 별 감동없이 읽었으니까요. 황순원 작품은 애잔한 감동이라도 있는데, 이건 그런 것도 없고...그런데 우연히 몇 년 전 <죽음의 승리>(금성출판사 세계문학전집판)를 읽고, 야...이거 짜릿하구나! 하고 마음에 들었습니다.유미주의 계열 작품을 은근히 좋아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죽음의 승리>를 읽고 나서 며칠 후 우연히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읽었는데 그때 이 장면이 눈에 들어오는 겁니다.만약 <죽음의 승리>를 읽지 않고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읽었다면 그 장면이 눈에 들어왔을까요?
어린이나 청소년 시절 읽은 책은 성인이 되어 다시 읽어보면 또다른 재미가 있습니다.아무래도 시간이 지나 지식이라든가 인생경험을 축적한 후에 읽으면 예전에 이해되지 않은 장면이 이해되기도 하고, 또 새로운 각도에서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도 주니까요.더군다나 학창시절 교과서 자습서 참고서 외엔 거의 독서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읽은 책은 반드시 성인이 되어 한 번 더 읽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그러면 "어...이런 이야기가 들어 있었나..." 하고 놀랄 때가 있을 것입니다.그리고 그런 놀라움이 바로 예전의 책을 다시 읽어보는 참맛이 아닐까요.그래서 나는 몇 년 전 읽은 작품도 또 읽고 또 읽습니다.그러다 보니 어떤 작품은 10번 가까이 읽은 것도 있지요.그래도 짜릿한 놀라움을 맛보기 위해 이 독서습관은 계속 유지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