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우물물을 길어먹을 때 여자들은 우물가에서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 양동이에 담아 머리에 이고 운반했습니다.이 양동이는 함석으로 되어 있었고요.농촌에도 70년대 후반 들어 폼푸와 수도가 보급되면서 양동이를 머리에 이고 다니는 여인의 모습은 희귀한 풍경이 되었습니다.그런데 옛날 이야기를 읽어보면 동네 개구장이들이 물동이를 돌을 던져 깼다는데 함석이 깨질 리는 없죠.그러면 이 물동이는 양동이가 아니고 무엇이었을까요.

 

  양동이는 동이에서 나온 말입니다.양동이 이전엔 동이가 있었는데 이것은 질그릇의 일종입니다.질그릇이란 단어는 많이 들어봤어도 이게 구체적으로 뭘로 만드는 건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만 쉽게 말해 흙을 구워 만든 것입니다.흙을 구워 원통을 만들고 양 옆에 손으로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를 단 것이죠.그러니 돌을 던져 깰 수 있던 겁니다.당연히 동이는 양동이보다 더 무거웠으니 여기에 물을 담아 운반하는 여자들은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동이를 지고 다니던 여자들은 양동이가 나오자 세상 좋아졌다고  할 정도였으니까요.

 

  동이처럼 생겼는데 훨씬 작게 만든 것이 방구리입니다.식당 같은 데서 뜨거운 국을 담아 내오는 질그릇보다 좀 더 크게 생긴 것이 바로 방구리죠.

 

  물을 담는 용기 중에 대야와 다라이가 있는데 대야는 우리나라에서는 세수대야를 의미합니다.하지만 원래 다라이는 일본말로 테(손)와 아라이(씻다)의 합성어입니다.일본에서는 세수대야도 다라이라고 하고, 큰 통도 다라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이 단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좀 변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세수대야를 다라이라고 하지 않습니다.요즘 방송에서는 다라이는 일본어니까 순화어로 대야라고 합니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대야는 세수대야고 다라이는 흔히 붉은 색의 고무다라이를 말합니다.일본어의 원래 뜻이 어찌되었건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렇게 쓰고 있지요.스텐레스로 만든 다라이는 간단히 스뎅 다라이라고 합니다.순화어 쓴답시고  다라이를 대야라고 하면 아직은 이상한 사람 취급 받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동이 대신 언제부터 양동이를 쓰게 되었을까요? 40년대나 50년대 소설에는 동이는 나와도 양동이는 나와 있지 않습니다.여기서 동이 앞에 붙은 양은 서양을 뜻합니다.양주 양담배 할 때의 그 양입니다.우리 고유의 것은 질그릇으로 만든 동이니까 함석으로 만든 새로운 동이라고 해서 양동이란 명칭이 나왔을 것입니다.

 

  다라이라는 물건 역시 옛날엔 없었으니 일본어를 빌렸을 것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대야는 세수대야를 의미하니, 다라이를 대야라고 순화하여야 한다고 학자와 방송에서 아무리 반복해도 일상생활에서 다라이라는 단어는 계속 쓰일 것입니다.다라이 할 때 사람들은 세수대야가 아닌 붉은 고무 다라이를 떠올릴테니까요.

 

  양동이는 그 물건 자체가 거의 멸종된 상태라 일상생활에서 쓸일이 없지만 다라이는 지금도 유용한 물건이라서 방송언어와 일반적인 용법과의 괴리는 계속될 것입니다.아마 아나운서들도 일상 생활에서는 다라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을까요? 그리고 혹시 요즘도 양동이를 본 적이 있습니까?


댓글(8)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4-09-23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양동이라는 말을 어릴 때 들어 봤어요. 19세기의 말, 오랜만에 들어 보네요.
언어라는 게 학자들이 이걸로 쓰자고 해서 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많이 써야 되는 거잖아요.

노신의 말이 생각나네요. 다니는 사람이 많이지면 곧 길이 된다는...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 다니는 사람이 많아지면 길이 되고, 말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언어가 된다...

노이에자이트 2014-09-24 15:50   좋아요 0 | URL
양동이가 의외로 오래된 물건이 아니더라고요.하긴 페크 님 정도 연배에도 거의 19세기 물건으로 간주될 정도니...

그런데 방송이나 지식인들이 선도해서 정착하는 순화어도 많죠.

hnine 2014-09-23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동이 이고 간다` 할때 물동이의 동이가 양동이의 동이와 같은 거였군요. 아하~
저 학교 다닐때 바께스는 일본말, 양동이는 우리말, 바께스 (X), 양동이 (o) 이렇게 배웠지요. 외래어 쓰지 않기 운동 같은 거 있었잖아요 왜.
그리고 요즘 양동이 본 적이, 없네요. ˝폼푸˝는 어디서 유래한 말일까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외래어일까요? 검색하러 갑니다. 일하다 말고 본격적으로 샛길로 새고 있습니다 ^^

노이에자이트 2014-09-24 15:52   좋아요 0 | URL
양동이도 옛날 물건이 되어버린 세상에 동이를 아는 사람은 거의 다 돌아가신 거죠.순화어 운동하는 사람들도 우리말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더 갖추었으면 좋겠어요.

hnine 2014-09-23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폼푸˝--> 영어 pump였어요. 전혀 짐작도 못했네요.

노이에자이트 2014-09-24 15:51   좋아요 0 | URL
발음이 변형되니 그럴 거에요.

transient-guest 2014-09-26 0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라이가 그런 의미였군요. 저는 그저 김치담글때 쓰는 큰 고무대야 같은걸로만 생각했죠. 양동이의 `양`은 서양의 `양`인가요? 요즘은 그런걸 잘 쓰지 않아서 양동이라는 말을 들이니 문득 MMA선수 양동이가 생각나더군요.

노이에자이트 2014-09-26 17:08   좋아요 0 | URL
예.일본어 사전에 정확히 풀이되어 있더라고요.

예.양은 서양 물건을 가리킬 때 쓰는 그 양입니다.

양동이는 이제 국내로 돌아와서 시합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