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들의 정원 - 시가 되고 이야기가 된 19개의 시크릿 가든 ㅣ 정원 시리즈
재키 베넷 지음, 김명신 옮김, 리처드 핸슨 사진 / 샘터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예전에는 잘 정돈된 잔디밭이나 텃밭을 보며 멋진 자연만을 음미했다면, 이제는 '저렇게 가꾸려고 엄청 고생했겠구나!' 생각한다. 틈틈이 잡초도 뽑고, 제 때 거름주고 약을 쳐야 지금 보고있는 그 모습이 된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쉬운 일이 아니다. 방치해두면 벌레 먹고 시들고 잡초가 무성해진다. 그래서 '작가들의 정원'이라는 책을 보며 처음에는 '이렇게 가꾸다보면 글을 쓸 시간이 부족할텐데......' 생각했다. '이 책에 소개된 작가들은 대부분 정원사를 고용했지만, 짬이 날 때마다 직접 정원을 가꾸곤 했다. (11쪽)' 라는 글을 읽고 나서야 작가와 정원의 적당한 관계를 짐작할 수 있었다. 가끔씩만 정원을 직접 가꾸고 글을 쓰거나 구상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면 가능한 일이다. 작업실로의 정원은 최상의 환경임을 이 책에 담긴 사진을 보며 짐작해본다.
정원은 작가들에게 위안을 주기도 한다. 온갖 번잡함에서 벗어나 생각하고 글을 쓰는 장소를 제공한다. '작가의 은신처'는 오래전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원에 되살리고 싶어 한 이미지다. (9쪽)
집중을 방해하는 일상의 번잡함을 벗어나서 글쓰기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은 얼마나 근사한가. 반드시 그런 장소가 필요할 것이다. 예술적 영감을 주는 장소와 시간이 있기에 소설 속 세계는 현실감 있게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영국 작가들의 집과 정원을 보여준다.
제인 오스틴, 루퍼트 브룩, 존 러스킨, 애거서 크리스티, 베아트릭스 포터, 로알드 달, 찰스 디킨스, 버지니아 울프, 윈스턴 처칠, 로렌스 스턴, 조지 버나드 쇼, 테드 휴즈, 헨리 제임스와 E.F. 벤슨, 존 클리어, 토머스 하디, 로버트 번스, 윌리엄 워즈워스, 월터 스콧, 러디어스 키플링
총 19개의 시크릿 가든으로 초대받는 시간이다.
익숙한 작가든 생소한 작가든 상관없었다. 주로 작품으로 접했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삶에 대해서는 그다지 잘 모르고 있는 부분도 많다. 이 책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특히 정원을 매개로 작가를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이었다. 꽃과 과일, 정원의 파릇파릇한 생명력이 느껴지는 책이다. '집이나 정원은 그곳에 거주한 모든 이들의 삶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140쪽)'는 이야기가 맞아떨어진다. 이 책을 읽으며 집이나 정원을 통해 작가들의 삶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작가와 정원에 관한 글이 끝난 후 '그 작가 그 장소 그 작품'이라는 글도 인상적이었다. 마지막에는 '영국 정원 여행 정보'가 실려있는데, 웹사이트와 주소가 안내되어 있다. 모든 집과 정원에는 휴무일이 정해져있으니 해당 웹사이트에서 입장 시간을 확인하라는 주의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며 정원 한두 곳쯤은 마음에 품게 될 것이다. 그러다보면 여행길에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 것이다. 독자의 그런 마음을 알아서인지 '영국 정원 여행 정보'를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이제, 당신의 정원을 만들 준비가 되었나요?'라는 질문으로 마친다. 누구든 마음을 평화롭게 만들고 생각에 잠길 수 있는 정원 하나쯤은 만들어 놓으면 좋지 않을까. 크든 작든 상관없고, 나 혼자만의 정원이든 동네의 정원이든 상관없을 것이다. 마음의 안식을 찾을 수 있는 곳이라면 나의 정원이 될 것이니 말이다. 작가들의 정원을 살펴보며 정원이라는 장소를 재발견하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