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문, 이 시대가 묻는다
김태완 지음 / 현자의마을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책문에 대한 것은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옛시절에 대과는 단순암기 또는 객관식 시험이 아니었으리라 짐작만 했지 구체적으로 어떤 식의 시험이 치러진지는 알지 못했다. 그 시절 시험에 대한 호기심에 이 책을 선택했는데 기대 이상의 책이었다. 역사는 반복되고 사람 사는 곳의 문제점은 엇비슷한 것인가. 오늘날 사람들이 읽어도 의미가 있을 글들을 가려 뽑아서 엮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옛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답변했을지 궁금한 생각이 들어 이 책 『책문』을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김태완. 율곡 이이의 책문을 텍스트로 삼아 실리사상을 연구하여 철학 박사학위를 받아싿. 현재 광주광역시 소재 지혜학교 철학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책문』은 조선시대 고급공무원 선발 시험인 대과의 마지막 단계에서 출제한 시험과 답안의 한 유형인 책문 가운데에서 오늘의 산재한 정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만한 의미 있는 글들만 가려 뽑아서 엮었다. 조선의 왕들은 책문에서 당대에 해결해야 할 정치, 문화, 제도개혁, 인사, 치안, 국방, 외교, 교육, 조직혁신 등의 온갖 현안을 묻고 선비들은 정치의 원칙과 학자적 소신에 입각해 거침없이 대책을 제시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원칙과 도덕이 부재한 우리 시대의 권력의 성찰과 사회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시대정신을 모색하고 있다. (책날개 中)

 

이 책은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올바른 정치를 구현하는 방안, 공정한 인재 등용의 원칙, 공약을 끝까지 지키는 정치, 이상 정치를 실현하는 방법, 부국강병을 위한 인재 등용, 정부 조직 개혁 방안, 난세의 국가경영, 국가 위기 타개책 등 국가의 큰 틀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부터 외교관의 자질, 올바른 교육의 길, 지도자의 리더십 등의 교육과 개인의 문제, 인생무상이나 술의 폐해를 근절하는 방법 등의 삶 속의 문제 등을 다룬다. 사회 현안에 대해 젊은 지식인 선비들이 어떤 대책을 제시하였는지 엿보는 시간이 된다. 그 시절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문제를 바라보게 된다. 이 책을 읽는다는 것은 우리 시대의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옛사람들의 책문에서 찾아보는 시간이다.

 

책문이란 무엇인가? 책문은 시대의 물음이다. 시대가 출제한 시험이다. 곧 당대에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에 빗대어 문제를 내고 그 문제에 대해 응시자가 자기의 역사의식, 정치철학, 인문교양을 총망라하여 해법을 제출한다. 그리하여 책문이란 권력을 갖고 권력을 행사할 사람의 권력에 대한 이념과 철학, 권력 운용의 역량과 비전을 묻는 시험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를 이끌어간 수많은 문신관료들은 그가 어떤 삶을 살았든 간에 적어도 관료로 출사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을 때는 관료로서 자기가 처한 시대와 역사에 대한 성찰, 학자관료로서 세계를 보는 자기의 세계관을 책문을 저술함으로써 치열하게 점검하고 성찰했다. (13쪽)

옛지식이 그저 책 속에 담겨있기만 할 때에는 우리에게 별 의미를 줄 수 없다. 지금 시대의 눈으로 새롭게 해석했을 때, 그리고 그것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용할지 판단할 때, 오랫동안 책 속에서 잠자고 있던 글은 생생하게 살아나서 우리 앞에 나타난다. 이 책을 읽으며 여러 현안을 떠올리고 그에 따른 대책을 건져보게 된다. 솔직담백하고 다소 공격적인 발언에 속이 시원해진다. 그러면서도 대과에 응시하는 만큼 두려움도 함께 살짝 비치는 모습도 수험생의 마음을 짐작하게 된다.

 

시대적 배경, 책문을 비롯하여 다양한 일화를 흥미롭게 담은 '책문 속으로' 등 읽을 거리가 풍부한 만큼 생각도 깊어진다. 옛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답변을 했을지 궁금한 마음도 충족시키면서 그밖에 예상치 못했던 지적 호기심까지 채워주는 흥미로운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시대의 문제를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