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비행사의 지구생활 안내서 - 나는 우주정거장에서 인생을 배웠다
크리스 해드필드 지음, 노태복 옮김 / 더퀘스트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비행기를 타고 하늘에서 바라보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하루하루 살아가다보면 삶의 무게가 버겁게 느껴지지만, 관점을 달리해서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세상은 다른 의미를 던져준다.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어떨까? 지구 안에서만 살아왔던 나에게 독특한 시선을 제공해줄 것 같았다. 우주비행사가 우주정거장에서 인생을 어떻게 바라보았을지 궁금해서 이 책 『우주비행사의 지구생활 안내서』를 읽어보게 되었다.

 

20년간의 우주비행사 훈련, 4천 시간의 우주 체류

"네모난 우주비행사에 둥근 구멍, 이것이 내 인생 이야기다"

이 책의 지은이는 크리스 해드필드. 캐나다 출신 우주비행사이고, 전 국제우주정거장ISS 사령관, 20여 년에 걸친 우주비행사 훈련을 거쳐, 4천 시간에 이르는 우주 체류 기록을 남겼다. 지구로 돌아와 은퇴한 뒤에는 세계 곳곳을 방문해 우주비행사로서 위기의 순간을 겪으며 체득한 삶의 지침과 의미, 그리고 우주 프로그램의 의의 등을 널리 알리고 있다.

 

남들과 다른 경험을 한 사람의 이야기를 책으로 읽으며 상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책을 통한 간접경험의 묘미이다. 특히 우주비행사라는 일은 할 생각도 못했고, 앞으로도 경험해보지 못할 일이다. 그렇기에 이 책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의 경험 하나하나, 그의 이야기 하나하나에 집중하게 된다. 이 책은 첫문장에서부터 압도적으로 몰입하게 한다. 이 책을 읽는 사람은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 적이 없기 때문에 그 표현에 넋을 놓고 계속 읽어나가게 될 것이다.

우주선의 창은 기적을 예사로 담아낸다. 92분마다 지구가 떠오른다. 이 경이로운 층층 케이크 같은 풍경은 처음에 오렌지색으로 시작해 그 위로 푸른색이 두텁게 덮이고 꼭대기 층에서는 찬란한 별들이 캄캄한 어둠을 뚫고 빛난다. 아래로는 우리 행성의 비밀스런 모습이 드러난다. 단정한 벌판에서 산맥들이 거침없이 솟고 숲들이 초록잔치를 벌이고 햇빛에 반짝이는 강들은 은색 벌레처럼 꼬불꼬불 흐른다. 대륙들이 널찍널찍하게 펼쳐지며, 그 주위로 앙증맞은 섬들이 깨잔 달걀껍데기처럼 바다에 흩뿌려져 있다. (11쪽)

 

크리스 해드필드의 꿈이 시작된 것은 아홉 살 때, 온타리오 주 스태그 아일랜드에 있는 가족휴가용 오두막에서 여름을 보내고 있을 때였다. 텔레비전에서 달 착륙을 방송하던 것을 보고 그는 우주비행사의 꿈을 상상했고, 그 꿈을 향해 달려갔다. 우주비행사의 능력은 어디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년간 진지하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했다는 점, 가장 중요하게 바꿔야 할 것은 우주비행사로서 생각하는 법을 배워야 했다는 점에서 그가 꿈을 향해 부단히 노력하고 실행해나가는 열정을 볼 수 있다.

 

이 책에는 그의 인생 여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이 상당히 구체적인데 그 점이 오히려 흥미롭게 읽어나갈 수 있게 한다. 우주비행사들의 '발사 준비','이륙','지구 귀환'의 과정을 생생하게 함께 할 수 있다. 어디에서든 사소한 일에 진땀을 빼며 상상 이상의 노력으로 열정을 불태우는 그의 자세를 배우게 된다. 특히 지구 귀환의 과정까지도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게 한다. 솔직담백한 글 속에 진심이 느껴지고 그의 열정을 보게 된다. 그렇기에 마지막까지 내 시선을 잡아끄는 힘이 있는 책이었다.

우주에서 지구로 돌아올 때 나는 천국에서 쫓겨나는 느낌이었다. 그러다가 철퍼덕! 한 시간 전까지만 해도 나는 초능력자였다. 날아다닐 수 있었으니까. 그런데 이제는 누가 부축해 줘야만 간신히 절뚝절뚝 다닐 수 있을 뿐이다. 무중력의 호사스러움에 젖어 있던 내 몸은 중력으로의 복귀에 완강히 저항했다. 메스껍고 무기력했다. 사지는 납덩이처럼 무거워 몸을 제대로 가눌 수가 없었다. (319쪽)

 

이 책의 앞면에 보면 추천사가 가득하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진짜로 추천하고 싶은 책이라는 점을 이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한 우주비행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우주'와 '지구'를 오가며 얻은 삶의 지침. 그 지침은 비단 우주비행사가 되고픈 사람만이 아니라 꿈을 추구하며 땀 흘리고, 때로 삶의 굴곡 앞에서 방황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효하다. 아무리 암울한 시절에도, 가슴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가지고 움직이는 사람은 그를 지켜보는 사람들을 감화시키며, 우리가 달라질 수 있다고 믿게 해준다. 크리스 해드필드의 여정을 보며 내가 느낀 두근거림을 여러분도 느끼길.

-데니스 홍/ 로봇공학자, 《로봇 다빈치, 꿈을 설계하다》저자

 

크리스 해드필드는 사람을 끄는 문장력을 지닌 뛰어난 저자다. 우주에서 찍은 지구 사진부터 우주궤도를 도는 폭 100미터짜리 깡통 속의 흥미로운 일상까지, 그는 날것 그대로의 삶이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슬레이트

 

이 책을 통해 우주여행을 할 때 어떤 기분이고 어떻게 준비를 하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을 보게 되고, 우주비행사로서의 꿈을 향해 돌진하는 열정도 보게 된다. 아홉 살 때부터 자신만의 꿈을 꾸었고, 그 꿈을 향해 열심히 달려나갔기에 '나는 우주정거장에서 인생을 배웠다'라는 말이 더욱 와닿는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인생을 보며 자신만의 열정에 불을 지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