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글쓰기 - 공지영, 정유정, 정이현 외 11명 대표작가 창작코멘터리
이명랑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니 읽은 책을 서평으로 남기며 나의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서평을 쓰다보니 이왕이면 잘 쓰고 싶다는 생각에 글쓰기 책을 기웃거리게 된다. 어떤 책에서는 큰 도움을 받기도 하고, 생각보다 막연해서 와닿지 않는 책도 있었다. 소설 쓰는 일을 남의 일로만 생각해왔기에 이 책을 읽을까 말까 고민했지만, 읽다보니 정말 읽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이 책 『작가의 글쓰기』는 11명의 대표 소설가에게 듣는 창작 코멘터리로, 아무 데서나 들을 수 없는 주옥같은 인터뷰의 모음이다. 소설가가 되고 싶은 사람은 물론이고 소설을 쓰는 작가의 생각이 궁금하거나 글을 좀더 잘 쓰고 싶은 사람들 모두에게 창작의 열정을 불태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명랑. 소설가이며 오랫동안 소설창작 지도 및 문학이론을 강의했다. 그래서 작가지망생들이 어떤 부분을 갈망하는지 잘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려운 곳을 긁어주고 산만한 마음을 정리해주어 눈이 번쩍 뜨이게 하는 재주가 있다.

내게 불안을 토로하는 작가지망생들을 만날 때마다 나의 대답은 늘 똑같다.

"무조건 쓰세요. 오직 쓰고 있는 동안에만 재능 없음도 미래에 대한 불안도 극복할 수 있어요. 쓰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답니다."

그러나 나는 잊고 있었다. 이십대 시절, 작가가 되겠다고 글을 쓰면서 내가 가졌던 그 절박했던 단 하나의 소망을. 그 시절 나의 유일한 소망은 '작가를 만나고 싶다. 작가를 만나 단 한 번만이라도 지금 봉착해 있는 문제들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7쪽_프롤로그 中)

저자는 취직도 미루고 소설을 쓰고자 하는 L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망망대해에서 등대를 발견한 기분일까? '이제야말로 소설을 한번 써봐야겠다!'라는 투지를 L에게서 읽은 후 작가지망생들을 위해 이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이 책은 크게 소설의 공간, 소설의 인물, 소설의 사건, 3부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소설가 이동하, 정유정, 명지현, 이평재, 구효서, 방현석, 심윤경, 공지영, 김다은, 정이현과의 인터뷰 및 저자인 이명랑을 포함하여 11인의 소설가와 소설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나눈 내용이 담겨있다. 보통 소설가와 인터뷰를 하면 온전히 소설에 대한 이야기만 나누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부분까지 포함하곤 하는데, 이 책에는 오로지 소설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어서 집중력있게 볼 수 있었다. 소설을 쓸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이 보기에도 충분히 매력적이니, 소설을 쓰기로 결심했다가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몰라서 좌절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야말로 단비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원한 물 한 잔이 되는 책이다. 

 

그동안 독자로서 소설가의 결과물만을 보았다면 이 책을 통해 그 과정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엿볼 수 있어서 의미 있었다. 그들의 노력을 간과했던 것을 이 책을 읽으며 짚어보게 된다. 소설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소설가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도움이 될 것이다. 절실한 만큼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부분이 강렬하게 다가올 것이다. 모든 소설가에게 적용되는 법칙은 없겠지만, 소설가들의 이야기를 보며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으면 그것이야말로 소설을 쓰는 가장 좋은 방편이 될 것이다. 특히 소설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강추하고 싶다. 소설가를 꿈꾸지 않더라도 이 책을 읽고나서 소설을 읽게 되면 소설이 달리보이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