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사랑한 꽃들 - 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전작인 『문학 속에 핀 꽃들』을 읽었던 기억을 떠올린다. 그동안 문학 작품을 접했지만, 작품 속에서 다뤄진 꽃에 대해 이렇게나 무지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 책을 보고 나서야 궁금한 생각이 들었다. 기획 자체가 신선한 책이었다. 그동안 소설을 읽으며 흘려넘겼던 꽃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저자의 다음 책이 궁금했다. 시리즈로 계속 출간해도 될 듯 기다려지는 분야였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문학이 사랑한 꽃들' 이야기다. 주인공이나 줄거리 대신 주요 소재나 상징으로 쓰인 야생화를 중심으로 문학에 접근한 책이다. 소설의 어떤 대목에서 야생화가 나오는지, 그 야생화가 어떤 맥락으로 쓰였는지, 그 야생화는 어떤 꽃인지 등을 소개했다. (5쪽)

이번 책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예전에 읽은 『문학 속에 핀 꽃들』보다 좀더 상세하다. 하나씩 찬찬히 읽어나가며 문학의 꽃이 주는 향기와 분위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 책에는 33편의 국내 소설과 100여 개의 야생화를 모았다.

 

이 책을 읽으며 소설을 읽을 당시에는 그저 흘려넘겼던 것들을 다시 짚어주는 시간이 의미 있었다.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은 두 번 읽은 소설이기에 충격적이었던 것이 도무지 도라지꽃이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거기에 도라지꽃이 두 번 나온다니 낯설다. 이 책을 통해 그 소설을 떠올리게 되고, 도라지꽃 이야기가 나왔던 부분을 애써 기억해내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라지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나온다. 관련된 꽃이야기와 꽃 사진으로 알게 되는 지식이 풍부해진다.

 

박완서의 소설『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라는 제목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막상 '싱아'에 대해 궁금해하지 않았다는 것을 떠올리게 된다.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일 미터 정도로 줄기가 곧으며, 6~8월에 흰 꽃이 핀다.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고 어린잎과 줄기를 생으로 먹으면 새콤달콤한 맛이 나서 예전에는 시골 아이들이 즐겨 먹었다.'(129쪽) 이렇게만 설명되면 머리에 떠오르지 않는다. 사진과 함께 "옛날에는 싱아가 밭 주변이나 하천가 같은 곳에 많았는데, 그런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요즘에는 산에 가야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줄어들었다"는 국립생물자원관 김민하 연구사의 말이 눈에 띈다.

 

이 책에는 김애란, 성석제, 김연수, 박민규, 정이현, 윤성희, 전경린 등 젊은 작가, 중견작가들의 소설 위주로 실려있다. 읽은 소설보다는 아직 읽지 않은 소설이 많은데, 이미 읽었는가의 여부는 상관이 없다. 소설 이야기와 꽃 이야기가 적절히 어우러져 궁금증을 최대한 끌어낸다. 이미 읽은 책이지만 그 책에 나왔던 꽃이 잘 생각이 나지 않기에, 읽어도 읽은 것은 아닌가보다. 그래서 새로운 기분으로 이 책을 읽어나갈 수 있었다.

 

저자는 전작을 능가하는 후속작은 드물다고 겸손의 말을 하지만, 앞으로 계속 문학 작품과 꽃을 연관지어 다음 책을 출간해주기를 내심 기대하게 된다. 내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넘어갔던 무수히 많은 야생화와 그에 얽힌 이야기를 적절히 배합하여 흥미를 유발시켜주고, 이미 읽었던 작품도 유념해서 다시 읽어보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게 된다. 그 점이 이 책의 매력이다. 신선한 기획에 참신한 느낌으로 읽게 된 책이기에 또다시 다음 책을 기다리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