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 옛이야기 속 집 떠난 소년들이 말하는 나 자신으로 살기 ㅣ 아우름 3
신동흔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어릴 적 동화를 읽을 때에는 잘 몰랐다. 왕자와 공주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다고 하면, 그냥 당연히 평생 행복했을 줄 알았다. 과자의 집에 홀려서 마녀에게 갔다가 오빠를 삶아먹겠다고 살찌우는 장면이 그렇게 잔인해보이지도 않았고, 마법에 걸려 개구리가 되어버린 왕자의 억울한 심정은 알지 못했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 다시 읽은 옛이야기들은 하나같이 잔인하다. 빨간 모자에 나오는 늑대는 뱃속에 돌을 가득 넣어 꿰매 죽게 하고, 백설공주의 왕비는 흉측한 마녀가 되어 뜨거운 쇠 신발을 신고 미친 춤을 추다가 자멸한다. 그런 장면을 상상해보면 끔찍하다. 착한 이는 복을 받고 악한 자는 벌을 받는 인과응보라지만, 지나치게 처참하게 심판받는 모습을 보게 된다. 당하기만 하는 주인공에게는 그렇게 하는 것이 독자에게 후련함을 느끼게는 해줄 것이다. 악하게 살면 안된다는 뼈저린 교훈같은 것을 주는 이야기다.


이 책을 보며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가 옛이야기를 어떻게 바라보며 의미를 찾을지 깨닫게 된다. 이 책은 옛이야기를 살펴보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짚어보도록 도와준다. 옛이야기를 문자 그대로만 해석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집을 떠나게 되는 이야기로부터 독립적인 자아를 찾는 과정까지, 낱낱이 분석해보는 시간이다. 동서양의 옛이야기를 넘나들며, 저자는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 책의 저자는 설화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신동흔이다. 다양한 옛이야기를 적절히 어우러지게 구성해서 주인공들이 길을 떠나 어떤 일이 벌어지고, 그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짚어준다.

백설공주와 바리데기 이야기를 하며, 얼핏 보기에는 꽤 달라 보이는 두 공주 이야기에서 하나의 뜻깊은 접점을 발견하게 한다. 바로 '숲'으로 표상되는 거친 세상에 훌쩍 던져진 상태에서 스스로 자기 길을 찾고 자기 삶을 세운 존재라는 점에서 서로 속 깊게 통한다는 점이다. 장화 홍련 속에서 볼 수 있는 '엄마 품'이라는 감옥은 장화홍련 이야기를 다시 한 번 정독하며 읽어보게 했다. 별 생각없이 선악으로 나누어 바라보던 이야기인데, 다시 한 번 살펴보니 그렇지만은 않은 부분이다. 여우 누이와 악어 아들, 심청전에 대한 다른 시선, 바이칼 호수의 전설에 대한 숨은 의미 등 이 책을 읽으며 새로이 알아가는 부분이 많이 있었다. 이야기를 이렇게 바라볼 수도 있구나, 지금껏 너무 이야기의 한 단면만 보고 지나갔구나, 생각하게 된다.
길을 떠난 많은 주인공들을 만나 봤습니다. 홀연히 길을 떠난 주인공들이 보란 듯 자기 삶을 이루어 내는 일은 신 나고 감동적이지만, 우리 자신의 처지를 우울하게 비춰 주기도 합니다. 과연 우리는 제대로 가고 있는지 돌아보게 하며, 또는 언제나 돼야 저렇게 훌쩍 길을 떠날 수 있을지 묻게 합니다. (203쪽)
이 책은 샘터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 제 3권이다. 아우름은 다음 세대에 말을 거는 샘터의 인문교양 시리즈로서 부담없이 인문교양지식을 쌓는 데에 도움이 될 책이다. 얇은 분량이지만 하나도 허투루 넘기기 힘든 알찬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을 통해 옛이야기를 새로운 시선으로 깊이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