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궁금해진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서 아주 오랜 옛날에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그 시절의 역사 속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은 어떤 모습이었으며, 그들은 어떻게 흘러갔던 것일까? 이런 생각이 들면 역사소설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 소설을 쓰는 사람들은 일반 독자들과 다르다. 무척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막연한 호기심 이상으로 역사 속 이야기에 대한 자료 수집을 해야하고, 작가의 상상력으로 탄탄한 구성이 되도록 기름칠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사실 그다지 멀지 않은 시절에 대한 문학적 작품은 많이 있다. 그래서 수많은 작가들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재탄생되고 있고, 때로는 너무 흔해 흥미감이 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좀더 먼 과거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은 점점 희박해진다. 그 시절에 대해 남아있는 자료가 부족하고 그만큼 어려운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더욱 관심이 가기도 한다. 이 책의 작가도 말한다.

자료와 취재를 통해 얻은 재료를 소설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쉽지 않았다. 상상 이상으로 멀고 높은 경지였다. (작가의 말 中)

 

삼국 통일 직전 신라의 수도는 왕경이었다고 한다. 이 책은 왕경(경주)을 배경으로 소설 속 이야기가 전개된다. 신라의 진골이자 화랑인 김유, 고구려 귀족에서 노비로 전락한 진수, 백제에서 온 비밀스러운 소녀 정. 이 세 사람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며 왕경에서의 이야기에 핵심이 된다. 역사적으로도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긴박한 배경이었고, 그런 배경을 깔고 있기에 이들의 이야기가 더욱 애틋하게 와닿는 느낌을 받게 되었을 것이다. 때로는 그 상황을 생각해보며, 때로는 현재를 살아가는 내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해보며,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강약조절이 적당한 소설이었다. 소설 속 이야기에 몰입될 수 있도록 강약을 조절하는 힘을 느끼며,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가게 되었기 때문이다. 속도감이 있어서 큰 틀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잘 알지 못하던 시대의 이야기를 보며 그 시대의 상황에 대해 심도있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만으로도 역사소설의 의미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소설 속 인물들의 생각을 좇아서 그들의 상황과 연관지으며 공감할 수 있는 부분도 역사소설의 역할로 충분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나가다가 마지막에 허무한 느낌이 드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원하지 않는 결말이어도 탄탄하게 물 흐르듯 마무리되는 느낌이라면 깔끔하게 끝낼 수 있는데, 표현하기는 좀 힘들지만 맥이 빠지는 느낌이 들었다. 어쩌면 이 점은 개인적인 편차에 따라 다르게 느낄 부분이라 생각된다. 아마 저자가 이 소설로 끝내지 않고 계속 역사 소설을 집필하기 위한 방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본다. 문학 담당 기자 시절 故 박경리 선생으로부터 소설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았다는 점, 이 책이 처음 집필한 역사소설이라는 점을 감안해볼 때, 다음 소설이 궁금해지는 작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