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명 중 98명이 헷갈리는 우리 말 우리 문장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 2014년 10월
평점 :
우리 말은 어렵다. 신경쓰고 보자면 한이 없다. 이것도 틀린 것 같고, 저것도 비문인 듯하여, 문장 하나 쓰기도 조심스러워진다. 서평을 쓸 때 제대로 된 표현을 하고 있는지 아리송할 때가 정말 많다. 관련 서적을 읽고 '이것이 맞는 것이다!' 익혀 놓아도 그때 뿐. 시간이 흐르면 다시 헷갈리게 된다. 그래도 꾸준히 우리 말 우리 문장을 공부하며 하나씩 익혀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책을 읽고 시원시원한 느낌을 받고 싶었다. 100명 중 98명이 헷갈리는 문장이 정리되어 있다면, 분명 나또한 그 안에 포함될 것이라 생각으로 말이다. 한국어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심도 있게 짚어보면 헷갈리는 것 투성이다. 늘 공부하는 자세로 배우고 익혀야 한다. 한국인으로서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기 위해, 이 책 『100명 중 98명이 헷갈리는 우리 말 우리 문장』을 읽어보았다.
이 책의 '들어가며'를 읽어보다가 이런 문장을 발견했다.
"학생들과 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입에 붙은 말이 있다. 생각을 하고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쓰면서 생각하는 거라는 말이다. 이 말이 요새 내 강의의 화두다. 이 책을 쓰면서 그 생각이 더 공고해졌다. (들어가며_7쪽)"
본격적으로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나에게도 질문을 던지는 그런 글이었다. 생각해보면 그동안 글을 쓰면서 생각을 한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지금껏 생각을 하고 글을 썼다고 여겼지만. 이 책의 말대로 좋은 글을 쓰는 것이 문장을 잘 쓰는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제대로 알고, 좋은 글을 위해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도움을 받아서 헷갈리는 문장을 정비하는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국어학 박사 김남미. 국어 문장의 구조와 원칙을 기본으로 우리 말 우리 문장을 이야기한다. 오랜만에 접해보는 문법적인 요소가 처음에는 약간 낯설었지만, 이런 설명을 보는 것도 우리 말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법적인 부분을 조목조목 짚어주어 어떤 문장이 자연스럽고 좋을지 생각해본다.
"너 때문에 찢겨진 내 마음을 어찌할지. 여자 친구 좀 소개시켜 줘. 그 남자가 추파를 던진다. 신랑은 학계에서도 알아주는 재원입니다. 그 묘령의 사내가 영 잊히지 않는다" - 모두 틀린 문장이다.
이 문장들이 어색하지 않다면, 이 책을 꼭 읽어서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짚어보아야 한다. 이왕이면 바른 말을 쓰기 위해서 노력해야할 필요가 있고, 이 책을 통해 짚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은 문법적인 요소를 조목조목 설명해주는 점이 특징이다. 문법적인 부분은 어렵다고만 생각했는데, 일반인이 읽기에 부담없이 눈에 쏙쏙 들어오는 것이 장점이다. 그냥 맞고 틀린 말만 알려주는 것 이상으로 도움이 된다. 마음 속에 차곡차곡 지식이 축적되는 기분이 든다. 이 책을 통해 우리말을 제대로 익히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