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벨상과 수리공 - 과학을 뛰어넘은 엔지니어링 이야기
권오상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제목과 소개를 보고 궁금한 생각이 들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대부분의 물리학자는 과학자가 아닌 엔지니어였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될 책이라는 생각에 기대가 컸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저명한 과학자 대부분은 자신을 엔지니어라고 소개했지만, 시간이 흘러 현대에 접어들면서 당시 자신을 엔지니어라고 소개했던 사람들이 모두 과학자로 분류되었다고 한다.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을까? 과학자와 엔지니어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솔직히 잘 몰랐기에 더욱 궁금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어서 이 책 『노벨상과 수리공』을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의 '들어가는 말'에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신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교묘한 방식으로 그러한 신화가 생산, 재생산되고 주입된다니 이 분야의 사람들 목소리에 귀기울여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과학이 우선하고 그 외의 다른 것들, 즉 기술, 공학, 엔지니어링 등은 그에 종속되어 있고 그로부터 파생되어 나온다는 주장이다."(4쪽) 나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과학에 대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그런 것이 아니었나?' 아니었나보다.
하지만 여전히 잘 모르겠다. 엔지니어나 공돌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었지만, 비하하는 느낌을 가진 적은 없고, 과학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다. 그 단어에 비하하는 느낌을 받아야했던 것일까?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서인지, 이 책의 서두 부분에 '엔지니어링과 과학의 개념적 차이는 작지 않다"는 이야기가 낯설었다. 처음부터 저자의 견해를 따라가기에는 나의 생각이 많이 달랐다는 느낌이 들었다. 구체적인 내용을 읽어도 솔직히 크게 와닿지 않았다. 안타까운 생각마저 들었다.
사실 처음에 낯설어도 읽다보면 새로운 세계를 알아가는 듯한 환희에 벅차오르는 책이 종종 있다. 이 책에 대해서도 그런 기대를 살짝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나가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던 것이 아쉬웠다. 이 책을 엔지니어의 길을 걷고 싶은 사람들 혹은 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공감을 많이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과학과 엔지니어를 구분하지 못하는 일반인 독자로서 읽기에는 벅찼던 책이다.
한우리 북카페 서평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