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ㅣ 하트우드
케이트 디카밀로 지음, 김경미 옮김, 배그램 이바툴린 그림 / 비룡소 / 2009년 2월
평점 :
이 책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는 최근 베스트셀러 1위를 장식하고 있기에 더욱 궁금했다. '여행 책인가?' 생각했지만 아니었다. 세상 여행이라고 생각해볼 일이다. '에드워드 툴레인은 누구지?' 도자기로 만든 토끼 인형이다. 도자기 토끼 인형의 여행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은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예상보다 더 큰 감동을 남긴 책이다.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동화였고, 마음에 여운이 가득 남는 책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도 그 여운은 꽤나 오래 간다.
도자기로 만들어진 토끼 인형 에드워드는 애빌린이라는 소녀에게 사랑을 듬뿍 받으며 지내고 있다. 다른 이들에게 받는 사랑이 당연한 것으로만 알았다. 약간 거만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인형 신분에서 이런저런 불만이 많다. 남들이 자신을 대하는 태도에 투덜거린다.
어느 날 툴레인 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가다가 배 밖으로 던져진다. 사내아이들이 에드워드의 옷을 벗기고 던지며 장난치다가 결국 바다에 빠뜨리고 말았던 것이다. 에드워드는 배에 탄 낯선 사람들 앞에서 발가벗고 있는 것이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던져지는 것도 끔찍했고, 결국 바다에 빠지고 만다. 최악이다.
그 이후 에드워드 툴레인의 여행은 시작된다. 어부가 구해주었기에 바다에서 올라왔지만, 쓰레기 더미에 묻혀 있기도 했고, 허수아비로도 일했으며, 멤피스 거리에서 춤을 추기도 했다. 극과 극 체험이다. 기나긴 여행 전의 에드워드와 여행을 다 마치고 애빌린을 만나게 된 에드워드는 분명 달라져 있었을 것이다. '사랑'에 대해 깊이 있게 몸소 느끼게 되었고, 자신이 당연스레 가지고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보는 시각이 달라져 있었을테다.
이 책에서 할머니가 애빌린에게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면이 있는데, 그 이야기는 에드워드에게 전달해주는 메시지가 있다. '사랑'에 관한 이야기다. 아이들에게 들려주기에는 끔찍한 이야기다. 애빌린은 이야기가 그렇게 끝나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다. "너무 빨리 끝나 버렸잖아요. 그리고 아무도 그 후로 행복하게 살지 않잖아요. 그게 이유죠." 이야기한다. "하지만 어디 대답해보렴. 사랑이 없는데 어떻게 이야기가 행복하게 끝날 수 있겠니?"
"왜냐하면 그 공주는 아무도 사랑하지 않았고, 사랑이라는 것에 신경도 쓰지 않았거든. 자기를 사랑해주는 사람이 많았는데도 말이야." 할머니의 말은 에드워드의 마음을 생각하게 한다.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 공주와 에드워드의 태도가 너무나도 닮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며 에드워드 툴레인의 삶의 경험을 따라 마음이 깊어지는 모습을 보게 된다. 나또한 주위에 당연스레 있는 것들에 고마운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세상에 수많은 사랑이 존재하지만 완전히 똑같은 마음은 없을 것이다. 한 사람의 마음도 항상 같을 수만은 없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폭넓어지는 마음을 느껴본다. 이 책이 많은 생각을 던져주는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