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20시간의 법칙 - 무엇이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
조시 카우프만 지음, 방영호 외 옮김 / 알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새로운 취미를 갖는 것은 힘든 일이다. 시작할 때의 의욕에 맞춰 실력이 쑥쑥 늘어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의욕은 넘치지만 실력은 그저그런 상태에서 의욕도 점점 꺾이며 시큰둥해진다. 아무리 욕심을 부려도 하루 24시간 부지런히 시간을 투자할 수 없으니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1만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1만시간,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20시간의 법칙'이라! 눈에 쏙 들어오며 궁금증을 유발시킨다.

 

 무언가를 배울 때 매일 조금씩 꾸준히 하는 것만이 능사라고 상식처럼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하다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미친듯이 몰입해서 푹 빠져서 하지 않으면, 조금씩 해서는 쉽게 실력이 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가 말하는 20시간의 법칙에 관심이 컸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싶어서 이 책 <처음 20시간의 법칙>을 읽어보게 되었다.

 

 막상 이 책을 읽어보니, 처음에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약간 다른 방향이었다. '무엇이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라고 책표지에 적혀있지만, 사실 '완벽하게'는 아니다. 놀랄만한 성과라는 것이 프로의 의미가 아니라, 아마추어의 눈으로 보았을 때이고, 기대치를 낮추면 어떻게든 성공했다고 해석할 수 있기에 아쉬움을 느꼈다.

 

 이 책의 저자는 책의 뒷부분에 본인이 직접 처음 20시간의 법칙을 실제로 실천해보고 체험한 이야기해준다. 저자가 처음 접하는 '요가, 우쿨렐레, 윈드서핑, 바둑'을 배워보는 이야기를 100페이지 넘게 할애하고 있다. 이 체험담은 보는 사람에 따라서 그것이 '완벽하게' 생각되는지 아닌지는 다를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도움이 되는 부분은 앞부분이었다. 처음 20시간의 법칙에 대한 이야기와 연습에 뛰어들기 전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해 명료하게 정리를 해주는데 도움이 된다.

"가라테 고수가 되려면 4,000개 동작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동작을 4,000번 연습해야 한다는 것을 나는 깨달았다."라는 <판매전선 이상없다>의 저자인 체트 홈즈의 말에서 20시간의 법칙의 핵심을 깨닫는다. 무언가를 배울 때에 그 분야의 모든 것을 잘하려고 덤벼들 것이 아니라, 몇 가지 핵심적인 것을 잘 잡아내어 시간 투자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저자가 말하는 처음 20시간의 원칙 10가지, 연습에 뛰어들기 전 준비해야할 것들 원칙 10가지는 어떤 것을 배운다고 해도 처음 접하는 것을 배우고 익히는 데에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기본 원칙을 정리해보는 데에 도움을 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