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연애 - 서가에서 꺼낸
문아름 지음 / 네시간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책에 대한 평가는 절대 객관적일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책을 읽고 제각각 다른 느낌을 이야기한다. 내가 읽어서 좋은 책이 다른 사람에게도 그런 경우가 드문 데다가, 좋다는 의견을 들어도 좋았다는 부분이 서로 다른 것이 신기할 정도다. 어떤 책은 누군가에게 인생을 뒤흔들만한 매력적인 책이 되는 반면, 누군가에게는 그저그런 책들 중 하나로 스쳐지나가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과 책에 대한 느낌을 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서로 다른 서평을 보면 같은 책을 보고 이렇게도 다양한 느낌이 있을 수 있다니, 감탄하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에 대해 궁금한 생각이 들었다. '연애에 대해 오독(誤讀)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라는 점이 궁금한 생각이 들어 이 책 <책과 연애>를 읽어보았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책을 매개로 연애에 대해 이야기한다. '연애는 감정이었다가! 경험이었다가! 일상이었다가! 책이었다가!' 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책이다. 이 책 속의 책들은 제목을 익숙하게 알고 있지만 읽어보지 않은 책들, 즉 고전이 많이 있다. 그 책들을 직접 읽어보는 데에는 큰 다짐을 해야하지만, 그 책들을 매개로 연애에 대해 풀어나가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느낌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일상 속에서 쉬운 언어로 녹아들어가는 느낌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고 세상의 모든 책을 다 읽어볼 수는 없는 법. 이 책을 읽으며 소개된 책에 대한 궁금한 마음이 더해진다.
이 책을 읽다보니 책날개에 소개된 저자에 대해 공감하게 된다. '말랑말랑한 공감 능력으로 주변의 연애상담을 도맡고 있다.'는 이야기에 '그럴만 하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한 손에는 책을 쥐었다면, 다른 한 손에는 누군가의 손을 잡아야 더 멀리 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라는 표현에 특히 공감한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책의 세상에는 혼자 빠져들 수 있지만, 책 속의 글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인간이고, 다른 사람과 함께 한다는 것이 그 의미를 증폭시킨다. 그래서 다 읽고 생각해보니 '연애'라는 주제로 책 이야기를 묶어낸 것이 '사람'을 이야기하는 데에 기본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편안하게 읽으며 부담없이 연애를 들여다보기에 좋은 책이었다. 연애라는 주제로 이렇게 책들을 묶어낸 것이 흥미로웠다. 저자의 말랑말랑한 감성이 부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 속에 있는 책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기고, 이 책을 읽으며 나도 나만의 생각으로 오독(誤讀)을 즐기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