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서 책 읽기 2 - 뚜루와 함께 고고씽~ 베스트컬렉션 인문.교양.실용편 카페에서 책 읽기 2
뚜루 지음 / 나무발전소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카페에서 책 읽기> 1권을 읽었다. 카툰 서평집이라니! '서평을 그렇게 남기기도 하는구나! 그것도 정말 괜찮은 방법이겠구나' 생각했다. 책을 읽으며 세상을 바라보고 생각에 잠겼을 때, 그것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카툰이 되는 것이다. 신선했다. 글쓰기만으로 표현했던 나의 틀을 깨어보는 시간이 된다. 또한 가끔 다른 사람의 서평집을 보면서 나와는 동떨어진 독서 세계에 있는 것을 발견할 때 거리감을 느끼곤 했는데, <카페에서 책 읽기>에는 나도 읽었던 책들이 많았기에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안도감같은 것을 느꼈다.

 

 카페에서 책 읽기 1권에서의 기억이 좋았기에, 이번에 2권이 발간되었다는 것을 알고 얼른 읽어보게 되었다. 2권의 표지에 보면 '더 친절해진 카툰 독서 입문서'라며, '인문,교양,실용편'이라고 적혀있다. 앞으로도 계속 출간 예정인가보다.

 

 이 책은 총 다섯 챕터로 나뉜다. 각 챕터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당신의 고민을 들어드립니다,

상상력이 빈곤해진 당신을 위하여,

나 좀 안아주라,

소소하고도 특별한 오늘,

나는 점점 성장하는 중이다

일단 차례의 책 제목을 훑어본다. 이미 읽어본 책도 있고, 읽어보려고 생각하다가 미뤄둔 것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그 책들 속으로 들어가보는 시간이 되었다. 이 책을 읽다보니 전혀 모르고 있던 책이지만 카툰서평을 읽고 당장 읽고 싶어 안달이 나는 책도 있다.

 

 이 책의 장점은 가벼운 마음으로 카툰 속으로 들어가 부담없이 읽어내려가다가, 서평을 보고나서 그 책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마냥 깊어진다는 것이었다. 이 책도 읽고 싶고, 저 책도 읽고 싶고. 세상은 넓고 읽은 책은 정말 많다. 흥미로운 시간이다. 특히 카툰 서평이기에 표현할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 책은 <걸작의 공간>

 

 

 

 

 

 

 

 모르던 세계를 알아가는 즐거움이 느껴지는 책이다. <걸작의 공간>이라는 책에 대해 몰랐는데, 이 책 속의 그림을 보며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굳힌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찾아보고 싶은 책은 에릭 메이젤의 <가짜 우울>, 줄리아 로스먼의 <아티스트의 스케치북>, 카밀리앵 루아의 <소설 거절술>, 요네하라 마리의 <교양노트>, 이석원의 <보통의 존재>, J.D. 매클라치의 <걸작의 공간>이다. 서평을 담은 책은 앞으로 읽어보고 싶은 책을 찜해보는 시간을 갖게 되기에 그런 점이 독서 폭을 넓혀준다.

 

 또한 이 책의 즐거움은 각 챕터의 마지막에 있는 '창조적 책읽기, 네 멋대로 읽어라'라는 감칠맛 나는 글이었다. 부록처럼 살짝 그려지지만, 스쳐지나간 내 생각을 짚어주는 글이다. 무릎을 탁~치며 공감하게 된다. 도서관을 즐겨찾는 나에게 '도서관에는 외계인이 산다'라는 글도 인상적이었고, '슬로우한 리딩, 과연 가능할까?'에서는 지금 현재 나의 생각과 너무도 같아 웃음이 났다.

 

 

 '책에 이런 것까지 해보고 싶다'를 볼 때에는 '책 펼친 채 엎어놓기, 책 중간을 완전히 쩍 가르기, 책 귀퉁이 접기, 교정부호로 수정하기, 책 여백에 메모하기' 등 나는 이미 해봤다고 자랑하고 싶었고, '책과 집은 어떻게 공존하는가'를 보면서 지금 내 주변과 비슷하겠구나, 생각해본다.

 

 글자가 너무 많은 세상이다. 때로는 그림이나 사진 등 다른 매체로 같은 의미를 표현한 것을 보게 될 때가 있다. 이 책을 통해 부담없이 집중해서 다른 사람의 서평을 볼 수 있었다. 눈에 쏙쏙 들어오는 카툰 서평이 주말에 편안한 시간을 갖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