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 - 이명옥 관장과 함께하는 창의적 미술 읽기
이명옥 지음 / 시공아트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것들은 나의 해석에 따라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아무 것도 아니다가 내가 의미를 부여하면 커다란 의미가 된다. 미술 작품에 대한 생각은 특히 그렇다. 예전에는 미술 작품에 대해 별 감흥도 없었고, 여행 중 다닌 미술관에서의 기억은 힘들어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했던 것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미술 작품에 감탄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난 후에는 모든 것이 달라보인다. 어떻게 이런 작품을 생각하고 표현해냈는지, 작품을 보는 나의 마음이 달라져서 더 많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 <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은 미술작품에 대한 나의 시야를 넓히고자 선택한 책이다. 그런데 나는 이 책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 그저 '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에 대해서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보게 되었지만, 고정관념에 빠져 작품 해설에만 치중해서 작품을 바라보았던 나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 책이다. 제목이 좀더 와닿았으면 좋겠다. 내용은 정말 마음에 들었는데, 포장은 허술한 느낌이 들었다. '학교'라는 단어가 주는 고정관념 때문이었나보다. 학습서보다 약간 더 세세한 내용이 담겨있으리라는 생각에 이 책을 안보았다면 정말 아까울 뻔했으니 말이다.

 

 이 책은 초반부터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림의 이름표, 서명. 서명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기에 흥미진진하게 이 책을 바라보는 시작점이 되었다. 16세기 독일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는 뒤러 이름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알파벳 'A'와 'D'를 결합해 서명을 만들었다. 화가가 직접 디자인해 그림에 최초로 사용한 서명으로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한다. 오스트리아의 화가 에곤 실레는 자화상의 소매에 서명을 살짝 숨겨놓았다. <자고새와 쇠 장갑이 있는 정물>을 그린 아코포 데 바르바리는 그림 속 종이쪽지에 서명과 제작 연도를 적어놓았다. 모르고 보면 그냥 넘어갈만한 것이지만, 알고 보면 정말 재미있다.

 

 이 책은 연대별 화풍을 소개해준 것이 아니다. 지금껏 미술작품을 감상하던 나의 방법에 변화를 일깨워준다. 앞으로도 이렇게 작품을 바라보면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손, 검지, 발, 입모양, 그림자 등으로 미술작품을 재발견하도록 도와주고, 소리, 움직임, 속도감, 리듬, 크기 등을 경험하게 해준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도록 다양한 관점으로 세상을 표현한다. 그런 주제에 맞게 그림을 모아서 설명해주니 이해하기에도 좋고, 호기심도 발동한다. 흥미롭게 미술 작품을 이해하는 시간이 된다. 창의적으로 미술을 읽는 시간이 된다. 어떻게 미술 감상을 할지 좋은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