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지 프로젝트
그레임 심시언 지음, 송경아 옮김 / 까멜레옹(비룡소)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갑자기 추워진 날씨, 알콩달콩 달달한 소설을 읽는 것이 제격이다. 따뜻한 커피 한 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 한 권. 충분하다. 그렇게 펼쳐든 이 책, <로지 프로젝트>는 기대 이상으로 웃기고, 재미있고, 유쾌발랄한 소설이었다. 책을 펼쳐 들었을 때, 생각보다 재미있으면 기분이 상쾌해진다. 이 책을 읽으며 즐겁게 웃으며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이 소설의 남자 주인공, 돈 틸먼, 그 남자는 39세의 유전학 교수다. 지적이고 논리적이며 교수로서는 완벽하다. 하지만 사회성도 없고, 연애도 못한다. 책을 읽다보면 '아이고~ 이런 남자, 정말 답답하겠다.'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생각해낸 것은 '아내 프로젝트'. 결혼을 할 여자를 고르는 열여섯 장짜리 설문지를 만들었다. 이게 뭐야. 이 남자 어떡해. 뭐 이런 남자가 다 있냐는 나의 생각은 점점 돈 틸먼의 매력에 빠져들고 있었다. 늘 이성적이고 계획적인 생활을 하던 돈에게 어느 날 불쑥 나타난 로지 자먼. 돈은 로지의 생물학적 아버지를 찾는 데에 적극 도움을 주기로 한다. 로지의 '아버지 프로젝트'가 시작되며 그들의 이야기는 가속화된다.
이미 돈은 로지의 친아버지를 찾는 '아버지 프로젝트'에 점점 집착하게 된다. 그러면서 로지와 자주 만나게 되는데......정말 정반대의 취향을 가진 그들이 티격태격 어긋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재미있었다. 로지의 생물학적 아버지가 도대체 누구일지, 그들이 찾아낼 수 있을지, 이들의 좌충우돌 DNA 취합기도 웃음을 자아낸다. 아무리 사회적으로 완벽하면 뭐하나, 눈치 제로 돈의 모습이 우스꽝스럽다. 하지만 그런 점이 은근 매력으로 비춰지는데, 로지는 과연 어떻게 생각했을까?
이 책을 보면서 내내 영화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서평을 쓰고 있는 지금, 이미 '소니 픽처스 영화화'라는 소식을 보게 되었다. 역시 사람들의 느낌은 비슷한가보다. 시각화되면 나름대로 재미가 배가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캐릭터가 확실하게 살아있는 돈과 로지,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장면 하나 하나가 연상되는 섬세함. 이 책의 매력에 빠져드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