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디자인 - 디자이너, 삶의 디자인을 읽다
박현택 지음 / 컬처그라퍼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순간 박물관에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인간의 삶이 이어져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 단절되어버리고, 우리 삶에서 격리된 물건들만 전시되어 있다는 느낌 때문이었다. 삶의 숨결을 느낄 수 없고 그대로 사라져버려도 이상할 것도 없는, 이미 우리 삶에서 떠난 물건들이라는 생각에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내 마음까지 더해져 여행지에서 박물관은 더욱 외면하기 십상이었다.
하지만 이 책 <오래된 디자인>의 소개에 박물관에 간 디자이너의 디자인 인문학 산책이라는 글을 보고 궁금증이 일어났다. 특히 '호랑이 요강과 마르셀 뒤샹의 샘'이라는 글을 보고 이 책이 궁금해서 꼭 읽어보리라 생각했다.
요강은 결코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이 아니다. 당연히 예술이고 싶어 하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예술을 극구 부정한 것도 아니다. 더욱이 그들은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말하자면 생활의 한 도구가 경지에 이른 것뿐이다. 그러한 단계를 우리는 예술이라고 부른다. 예술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에도 불구하고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다. 삶을 위한 예술은 있어도 예술을 위한 삶은 없다는 것이다. 달콤함을 정제한 것이 설탕이며, 감칠맛을 극대화한 것이 인공감미료다. 정제된 된 미로서의 예술이나 극대화된 맛으로서의 조미료 따위보다 건강하고 온전한 삶을 위한 투박한 재료, 소박한 정신이 필요한 시절이다. 화려하든 소박하든 간에 그 대상이 나의 삶을 체감할 수 있게 해줄 때라야 더 친근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뒤샹의 ‘변기로 만든 샘’보다는 아무개의 ‘요강으로 만든 호랑이 새끼’에 더 정이 간다.--- p.61 「호랑이 요강과 마르셀 뒤샹의 샘」

이 책의 맨 처음에는 도올 김용옥의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라는 글이 있다. 이 책의 저자는 도올 김용옥과 사제관계다. 아름다움의 근원을 동양의 정서와 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해설한 철학적인 에세이라는 설명처럼,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 미추의 근본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새로운 느낌이었다.
이 책은 총 3장으로 나뉜다.
오래된 것에서 찾은 위대한 디자인, 오래가는 디자인, 남아 있는 것과 사라진 것.
먼저 1장의 이야기에서는 책상, 요강, 보자기, 추사의 글씨 등을 소재로 박물관 또는 옛물건에 차단되어버린 나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일종의 워밍업. 오래된 물건과 디자인에 관해서 일상 속에서 그다지 멀리 있지만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모양만 바뀌고 있지 우리 생활 속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것들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옛 선비들의 책상은 지금 내가 쓰는 책상과 모양만 다를 뿐이고, 요강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장실이 있고, 보자기 대신 가방을 사용하고 있으니, 완전히 차단된 것은 아니고 재탄생 되어 꾸준히 우리 일상 속에 있는 것들이다. 추사의 글씨는 요즘 서예에 관심이 많이 생긴터라 유심히 보게 되었고, 전체적으로 나의 시선을 끄는 책이었다.
'계영배'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저자는 계영배란 단어가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최인호의 장편소설 <상도>가 유명세를 타면서부터였다고 말한다. 나또한 <상도>의 유명세에 계영배에 대해 알게 되었다. '가득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의 계영배는 '과음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의 절주배로도 불리고 있듯이, 과하면 부족함만 못하다는 것을 술을 따르는 모습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123쪽) 국립중앙박물관과 도자기 회사의 명칭으로 된 공동브랜드 계영배에 얽힌 일화까지, 흥미롭게 읽었다.
우리가 늘 접하고, 경험하고 있는 것임에도 정작 무엇이라 설명하려들면, 갑자기 막막해지는 경우가 있다. 디자인 역시 그렇다. 디자인은 일상에서 아주 흔히 접하고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정작 디자인을 명쾌하게 설명하려면 결코 간단치가 않다. (306쪽)
저자의 이 말이 이해간다. 디자인과 관련 없다고 생각하는 일반인으로서 이 책을 읽기로 했을 때, '오래된 디자인' 이라는 제목을 보며 나와는 더욱더 거리가 멀 것이라고 생각했건만, 책을 읽다보니 나와 그리 먼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우리의 가까이에 있음에도 멀게만 느껴지는 디자인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이 책으로 삶의 디자인을 읽어보는 시간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