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미스터리
J.M. 에르 지음, 최정수 옮김 / 단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얼핏 보았을 때, 셜록 홈스의 베스트 단편을 모아놓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그것이 아니다. 그것은 소설의 새로운 소재이다. 셜록 홈스를 소재로 한 소설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도 없고, 읽어본 적도 없다. 시중에 나와있는 것도 몰랐기에 이런 발상 자체가 나에게는 참신했다. 이런 생각을 하고 소설을 집필했다는 것은 저자 자신이 셜록 홈스를 연모하고 그에 관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일 것이다. 처음에 명시한 홈스학자라는 부분에서 나는 아직 소설이 시작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검색까지 해보았다. 검색하니 이 소설에 대한 이야기뿐이었다. 처음부터 소설적 장치에 속아넘어간 모습이라니. 흥미로웠다.
탐정 셜록 홈스를 연모하고 그에 관한 책을 좋아하는 호모 사피엔스. 학계와 의료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이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구분한다. (13쪽) 그렇게 시작한 이 소설은 홈스학자의 레벨을 1~3레벨, 4~6레벨, 7~10레벨로 나눈다. 4~6레벨부터가 입문 단계의 홈스학자들이다. 이따금 허구와 현실을 착각하며 셜록 홈스 동호회에 가입하고, 관련 세미나에 꼬박꼬박 참석한다. 7~10레벨은 최고 수준의 홈스학자들이며 타인과 교류하지 않은 채 자신들만의 배타적 집단을 이루고, 셜록 홈스가 실존 인물이었으며, 아서 코넌 도일은 셜록 홈스의 전기 작가인 존 H. 왓슨이 고용한 출판 대리인이었다고 믿는다.
창작자나 독자들이 간혹 빠져드는 불가해한 열정, 픽션 캐릭터를 실존 인물이라 믿고 심지어 그와 사랑에 빠지거나 파괴적인 관계를 맺게끔 하는 그 심리적 상태를 나는 '홈스 콤플렉스'로 부르자고 제안하는 바이다.
-피에르 바야르, <셜록 홈스가 틀렸다>
나는 셜록 홈스를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독자다. 추리 소설에 열광하지는 않고, 외면하지도 않는다. 이런 나에게 특이한 소재라는 생각이 든 소설이다. 내가 셜록 홈스 팬이라면 띠지의 말처럼 절대적으로 재미있다고 생각했겠지만, 나에게 '절대적'까지는 아니었어도 꽤나 흥미롭게 소설 속 이야기에 주목하는 시간이 되었다. 셜록 홈스 팬이라면 절대적 재미를 느낄만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왠지 나도 셜록 홈스를 실존 인물로 믿는 마니아적 상상 속에 빠져들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