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치게 사적인 그의 월요일
박지영 지음 / 문학수첩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 <지나치게 사적인 그의 월요일>은 2013 조선일보 판타지 문학상 수상작이다. 가장 먼저 내 눈길을 끈 것은 이 책의 표지 그림과 제목이었다. 표지의 그림은 자세히 보면 볼수록 기묘하고 섬뜩하다. 빨간 셔츠를 입은 주인공이 거울 속으로 들어가는 혹은 거울에서 나오는 그림이 지나치게 사적인 그의 월요일이라는 제목과 부합한다. 섬뜩한 느낌을 받은 부분은 목이 잘린 고양이 그림과 가방 속에서 나오는 손이었다. 고양이 얼굴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가방에서 나오는 손은 누구의 손일까? 인상적인 표지 그림이다.

 

 그리고 쇼 비즈니스 현대사회를 엑스레이처럼 파고든 범죄 스릴러라는 설명에 궁금한 마음이 생겼다. 어떤 틀에도 갇히지 않고 지금 한국 사회의 특성들을 다채롭게 반영한 작품, 역대 최고의 작품이라는 찬사 등등 이 책을 읽게 만드는 요소들이 많았다. 사실 범죄 스릴러를 즐겨 보는 편은 아니기 때문에 이 책을 보겠다고 결심할 때까지는 수없이 망설였다. 하지만 결국 이 책 <지나치게 사적인 그의 월요일>을 읽어보기로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양면적인 생각에 휩싸였다. 이 느낌은 정말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애매모호하다. 공감하게 되지는 않으면서도 무시하고 넘어갈 수는 없는 느낌이다. 책 속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읽게 되면서도 영 불쾌하다. 흥미진진해서 다음 이야기를 넘겨보는 것은 아니면서도, 상상을 초월하는 독특함에 감탄하게 된다. 이건 뭐냐, 하는 생각으로 읽다가, 그럴 수도 있겠구나, 생각한다. 오랜만에 읽은 범죄 스릴러였는데, 이 장르를 즐겨보는 독자가 아니지만 흥미롭게 읽은 책이었다.

 

 그런 느낌을 받은 책이기 때문에 이 책에 대한 찬사가 맞는 말인 것 같으면서도 과장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래도 예전에는 사건 자체만 잔혹하다고 느꼈다면, 이제는 '기억'이라는 것이 더 잔인하고 믿을게 못된다고 느끼게 되었다. 사람의 기억, 어떻게도 재구성될 수 있고 믿을 수 없는 혼란스러운 부분이다. 우리는 그런 삶을 살고 있다.

 

 무조건적인 긍정의 힘을 강조하며 생의 밝은 모습만 보려고 애쓰면서도 점점 미쳐가는 시대, 어쩌면 이 시대 자체가 양면적이기에 현대 사회를 엑스레이처럼 파고든 이 소설이 나에게 그렇게 비쳐졌을 것이다. 이 시대의 모습을 소설적 장치로 제대로 드러내 보여준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