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 개정판
김봉렬 글, 관조스님 사진 / 안그라픽스 / 2011년 7월
평점 :
무분별하게 건축물이 들어서고 있다. 우리 삶의 터전은 옛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아파트는 기본, 뜬금없이 서양식 별장같은 곳도 있고, 개성도 어울림도 없이 난잡해져만 가고 있다. 건축물에 일가견이 전혀 없는 상태의 일반인으로서 사찰을 보았을 때, 자연 속에 고요하게 마음을 정화시키게 되는 휴식처 정도로 생각된다. 기분 좋은 평안한 마음으로 머물다가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며 전체적인 어울림의 공간 '가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가람이란 '여러 승려들이 즐겨 모이는 장소'라는 뜻의 인도말 'samgharama'에서 생겨났다. 앞산과 뒷산, 계곡과 물줄기의 위치와 형태를 살핀 후에야 가람의 터를 정한다. 대웅전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산문은 어디에 두어야 할지, 전체적인 건물들의 배열을 우선 정한다. 그후에 하나하나 건물들의 모습을 디자인하고 세워나간다. 따라서 한국의 가람건축은 우리 강산의 지형이 그 생김새에 맞도록 만든 위대한 선물이라 할 수 있다. (8쪽)

이 책을 읽으며 사찰은 건물만 바라보았던 나에게 전체적인 모습을 살펴보게 되는 시간을 선물하게 되었다. 이미 가본 사찰은 다시 가서 제대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아직 가보지 못한 수많은 사찰들은 당연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사진과 글에 빠져드는 시간이 되었다. 가람이라는 큰 틀에서 사찰을 바라보고, 그 안에서 어떤 부분을 살펴볼지 생각하게 된다. 처음 생각해본 시각이라 흥미롭게 이 책을 보게 되었다.
특히 내소사나 선운사는 직접 가본 기억이 있어서 다시 한 번 전체적으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선운사에서의 휑한 느낌이 노전채의 철거로 인해 비례가 맞지 않은 멍청한 마당이 되어서 였음을 이 책을 보며 깨닫는다.
한국의 건축이란 건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건물보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건물과 건물 사이에 놓인 마당이고, 마당과 건물이 하나로 엮어진 조합니다. (56쪽)
선운사라는 가람의 전체성은 사라지고 건물이라는 부분만 남은 꼴이 되어버렸다니, 그렇게 보니 그렇다고 생각된다. 이 사실을 전혀 모르다가 이제야 알게 되는 현대인의 한 명이 되었다.
이 책은 <현대불교신문>에 연재했던 글들을 재구성해 단행본으로 출간했고, 10년만에 재출간 되었다.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책 중에 자칫하면 그 존재를 몰라 읽을 수 없는 책이 상당하지만, 이렇게 읽어보고 새로운 세상을 알게되는 환희를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책이 나에게 선물처럼 그런 환희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