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다는 것은 - 존재의 안부를 묻는 일곱 가지 방법
박범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 <산다는 것은>은 박범신의 오욕칠정을 담은 에세이다.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망의 테마에 작가의 지나온 인생이 담겼다.
박범신 작가의 소설은 <촐라체>를 시작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동명의 연극을 볼 기회가 되어서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보게 된 연극에서
나는 압도 당했고, 촐라체의 강렬한 느낌에 전율을 느꼈다.
그 이후에 읽게 된 <촐라체>에서도 마찬가지로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작가의 ‘갈망의 삼부작’을 차례대로 읽으며 인간의 근본적인 ‘결여’와 ‘갈망’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지난 십여 년간 나를 사로잡고 있었던 낱말은 ’갈망(渴望)’이었다.
[촐라체]와 [고산자], 그리고 이 소설 [은교]를 나는 혼잣말로 ’갈망의 삼부작(三部作)’이라고 부른다.
[촐라체]에서는 히말라야를 배경으로 인간 의지의 수직적 한계를,
[고산자]에서는 역사적 시간을 통한 꿈의 수평적인 정한(情恨)을,
그리고 [은교]에 이르러, 비로소 실존의 현실로 돌아와 감히 존재의 내밀한 욕망과 그 근원을 탐험하고 기록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박범신 작가의 소설 <은교>, 작가의 말에서)
그런데 최근, 박범신 작가의 새로운 소설이 나왔다.
최근작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를 읽기 전에 워밍업으로 작가의 사는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를 읽고 싶어졌다.
이 책 속에 담긴 소소한 일상 이야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작가의 생각을 바라볼 수 있어서 좋았다.
소설을 읽으면 아무래도 그 안에 담긴 숨은 의미를 생각하게 되어
에너지를 많이 쏟게 되는데,
에세이는 그냥 사는 이야기를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들려주어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즐거움도 있고, 작품 탄생 당시의 이야기를 관심있게 보았다.
이 책을 읽으며 박범신 작가의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게 되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