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영원히 철들지 않는 남자들의 문화심리학
김정운 지음 / 쌤앤파커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제목이 너무 도발적이다.
‘그런 말을 이렇게 대놓고 해도 되나?’
남자들의 불만을 표출한 책이라는 생각도 들고,
그래서 이 책을 읽을 생각도 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얼마 전 모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저자가 출연한 것을 보았다.

책의 제목을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로 했다고 하자, 
아내가 묻는다.
“당신, 진짜로 나와 결혼할 걸 후회해?”

나는 약간 주저하다 대답했다.

“응, 가끔...”

아내는 잠시 창가로 고개를 돌렸다.
그러나 바로 몸을 내 쪽으로 향하며 이렇게 말했다.

“난, 만족하는데...”

내가 어찌 반응해야 할지 몰라 쭈뼛거리는데, 아내의 나지막한 한 마디가 내 가슴을 깔끔하고도 깊숙하게 찌른다.

“아주 가끔...” 

이렇게 ‘가끔’ 후회하는 남편과 ‘아주 가끔’ 만족하는 아내가 함께 사는 집이 우리만은 아닐 것이다. (프롤로그 中)


방송 중에도 그 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아내분의 상황 대처 능력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었고,
어쩌면 그런 부부이기 때문에 
이런 제목의 책을 낸다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없을거란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은 제목에서 예상되는 투덜투덜 불만투성이 남편의 이야기가 아니라
가볍게 웃고 떠들 수 있는 일상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재미있게 이 책을 볼 수 있었다.

흔히, 나도 그렇지만,
거창한 이론과 우리 일상과 잘 연결시키지 못한다.
심리학적 이론으로 거창하게 설명하는 글을 보면서
이해할 듯 말듯 갸우뚱거린다.
그래도 문화도 심리도 사람이 근본이고, 우리 자체가 소재 제공을 하는 것인데,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책을 쉽고 재미있게 읽었다.
잡다한 신변잡기적인 이야기, 주변에서 충분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로 주위를 환기시키고, 
거기에 대한 문화심리학적인 해석이 곁들여지니,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그리고 사회적 권위와 지위가 있는 저자의 위치가 설득력을 더하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거창하고 엄숙한 것을 집어던지고 
소소한 일상에서 행복해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삶의 재미를 찾고, 소소한 것에 감탄하고,
잃어가고 있던 ‘나’의 존재를 나부터 인식하고 행동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을 바꾸고 싶은가?
그렇다면 ‘너를 바꾸라’는 어설픈 성공처세서를 사서 줄치며 읽는 어리석은 일은 이제 그만하라.
대신 내 삶의 재미를 찾아야 한다. (16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