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를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웬만하면 밤 12시가 넘으면 보던 책도 멈추고 잠자리에 들게 되는데,
그때는 그 책을 보느라 새벽까지 책을 놓을 수 없었다.
계속 ‘한 장만 더~!’ 보겠다며 책장을 넘기다가 그 책을 다 보게 되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그 다음엔 오쿠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를 기대하고 읽게 되었는데,
기대에 못미쳤다.
그래서 한동안 오쿠다 히데오의 작품을 손에 쥐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오쿠다 히데오의 작품 <인 더 풀>이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올림픽의 몸값> 소식도 들었다.
하지만 그때처럼 실망할까봐 선뜻 책을 집어들지 못했다.
그러던 중 요네하라 마리의 <대단한 책>을 읽다가 이 책에 대한 글을 보게 되었다.

자리에 누워서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경쾌하고, 
한 쪽에 못해도 세 번은 웃음을 주고, 
세 쪽에 한 번은 침대에서 떨어질 정도로 박장대소하게 만든다. 

-요네하라 마리의 <대단한 책> 중에서

요즘 웃을 일이 별로 없어서인지, 마음껏 웃을 수 있는 재미난 것을 찾고 있었는데,
혹시나......하는 마음으로 읽게 된 책이 이 책 <인더풀>이었고,
역시나......이 책은 재미있었다.

정신과 의사 이라부, 
의사의 권위와 위엄은 저 멀리 던져버리고, 어린아이 같기도 하고 동네 아저씨같기도 한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환자들은 처음에는 난감해하다가도 결국 치유의 과정을 밟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며 특유의 과장된 듯한 모습에 ‘소설이니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팍팍한 삶에서 정신과 치료를 요하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정신과 치료율은 지극히 낮다고 하니, 
어쩌면 이런 정신과 의사가 현실에서도 필요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특히 인더풀을 보며 ‘창틀에 꼭 끼어 버린 엉덩이’ 부분을 보았을 때, 결국 나는 박장대소를 하고 말았다. 
‘어떡해~’ 하며, 안쓰러운 마음 30%와 우스운 마음 70%를 담아서 말이다.

참 독특하다.
환자보다 더 극성맞은 모습을 보인다.
환자의 병을 알지만 무조건 부정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안 되니 일단 긍정을 하며 치료해나가기도 한다.
이라부 선생님 같은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주변 사람들이 좀더 밝은 모습일거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