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교회의 역사 ㅣ 살림지식총서 41
서정민 지음 / 살림 / 2003년 10월
평점 :
가끔은 이해하기 힘든 일도 종교의 이름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이해하기 힘들고, 답답함. 그 속에서 종교는 특히 한국의 기독교는 무엇인지 나의 근원적 물음에 속 시원히 대답해주는 종교인들은 없었다.
그저 의문을 갖지 말고 믿어야한다는 대답밖에 들은 적이 없다.
그래서 한 때 교회에 발을 디뎌봤지만, 하나님께 그런 사소한 것까지 해달라고 떼쓰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이건 아니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래도 궁금한 것은 궁금한 것이다.
나 스스로 그 궁금증을 풀어야했다.
그래서 그들이 있게 된 역사를 알고 싶었다.
이 책은 별로 읽고 싶지 않았던 나에게 궁금증을 유발시켰다.
그냥 이 책으로 한국 교회의 역사,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싶었고, 딱 그만큼의 용도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먼저 살펴본 ‘한국 기독교의 수용과 갈등’으로 우리나라에 어떻게 가톨릭교가 들어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한국 프로테스탄트 기독교의 정착 과정을 살펴보게 되었다.
특히 중국 상해에서 활동하던 미북장로회 의료선교사 알렌이 내한하였다는 부분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미공사관 부속의사의 신분으로 입국하였는데, 당시 금교상황의 한국현실에서는 불가피한 방법이었다고 한다. 제중원이 한국에 직접 세워진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선교기관이었다는 글은 나에게 충격이었다. 그곳을 기점으로 한국에 도착하는 미국선교사들이 활동하게 되었고, 제중원에서 한국선교의 적응훈련을 받았다는 것,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알게 된 놀라운 사실이었다. 그래서 어쩌면 우리나라의 선교사들이 똑같은 행동을 다른 종교의 지역에서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북한 교회에 대한 이야기도 새로웠다.
평양은 일찍이 한국의 ‘예루살렘’이라고 불리어졌다.
8.15당시, 즉 분단 시기의 단면만을 두고 보더라도 한국기독교의 교세,비중,영향력의 정도를 따질 때 북이 7 남이 3의 비율, 만일 서울이 지닌 모든 면에서의 중심성을 감안하지 않고 단순한 숫자적 구성비로 보면 8대 2까지 그 영향력의 편재를 논하는 학자들도 있다. (59p)
그리고 장로교단 수만 얼핏 160개, 혹은 200개에 가깝다는 통계, 다양한 교파에서 또 분열된 상태의 교단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개신교는 몇 개의 분파로 나뉘었을거라고 막연히 짐작했었는데, 생각하던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분열된 교단이다. 교회라고 다 같은 교회가 아닌가보다.
서평을 쓰고보니, 기독교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 보게 된다면 답답해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그저 나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이 책을 읽었고, 그 정도의 역할을 이 책이 해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