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산자 - 2009 제17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단순하다.
박범신 작가의 <촐라체>에 감동을 받고, 그 작가의 이름만으로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접한 이 책, ’고산자’라는 제목은 그저 촐라체처럼 산에 얽힌 이야기라고 막연히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을 열고 보니 너무도 유명한 이름,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에 관한 역사 소설이었던 것이다.
후대 사람들이 아무도 그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이 없는데다가 평생 그 시대로부터 따돌림당했으니 그는 孤山子요,
아무도 가지 않는 길, 나라가 독점한 지도를 백성에게 돌려주고자 하는 그 뜻이 드높았으니 그는 高山子요,
사람으로서 그의 염원이 최종적으로 고요하고 자애로운 옛산을 닮고, 그 옛산에 기대어 살고 싶어했으니, 그는 古山子라고도 했다.
그의 이름이 김정호다. (10-11p)
대동여지도, 김정호...너무도 유명한 이름이지만, 사실 나는 그 이야기를 자세히 몰랐었다.
하지만 유명하면서도 그 세세한 이야기는 잘 알려져있지 않고 역사적인 사료도 얼마 없기 때문에
내가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되기도 한다.
책을 읽다보니 평생을 지도 만드는 일에 몰두하게 되는 계기가 명확하게 이해된다.
아버지의 죽음, 너무도 허무한 죽음, 지도만 제대로 있었다면 그렇게 허망하게 돌아가시지는 않았을거란 생각,
어린 시절 김정호에게는 커다란 트라우마가 되어 그의 온 힘을 송두리째 쏟아붓게 된다.
예전에 <상한론>의 저자 장중경에 관한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난다.
주변사람들이, 사랑하는 가족들이, 상한에 의해서, 즉 감기로 쓰러져 죽어가는데, 그런 책을 쓰겠다는 생각을 어찌 하지 않았겠냐는 교수님의 말씀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난다.
그와 마찬가지로 김정호는 지도에 의한 마음의 상처, 지도를 만들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 당시에만 해도 지도는 백성이 사사로이 지니고 있을 수 없었고,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되던 것이었다.
김정호에 관한 기록이 그 유명세에 비해 너무도 적어서, 그에 관한 역사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그것이 이 책의 장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박범신 작가의 책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니지만,
<촐라체>라든지 <엔돌핀 프로젝트> 등은 현재의 현존하는 삶을 바라본 것이라면,
<고산자>는 역사 속으로 시선을 돌려서, 김정호라는 개인의 역사적인 삶을 바라보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당시에는 인정되지 않은 생각이 결국에는 그의 생각대로 흘러갔다는 것,
이 책을 보며 시야가 좀 더 확장되는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