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본능 - 법의곤충학자가 들려주는 살인자 추적기
마크 베네케 지음, 김희상 옮김 / 알마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무시무시할 거라 생각했다. 
왜냐?
’살인’ 이라는 단어가 제목에 들어갔으니까......!!!
무서운 범죄 현장, 흉악한 살인마, 양심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볼 수 없는 인간인지 괴수인지 분간할 수 없는 외모...등등
’살인’ 이라는 단어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그렇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았다.
처음에 부들부들 떨며 책장을 넘긴 때와 다르게 이 책을 읽으며 그동안의 선입견을 바꾸게 되었다.
오히려 이 책을 읽으며 인간의 심리에 대해 한 걸음 더 접근한 느낌이 들었고,
범죄는 흉악무도한 괴물같은 사람이 저지르는 것이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는 것 또한 ’인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살인 본능> 이라는 제목이 왠지 살벌하다고 느꼈으면서도 이 책에 손이 먼저 갔다.
이 책 <살인 본능> 은 마르크 베네케의 범죄 3부작 완결편이라고 한다.
<모든 범죄는 흔적을 남긴다>와 <연쇄살인범의 고백> 을 이은 범죄 3부작이다.
사실 몇 번을 읽으려고 시도했다가 여지껏 읽지 못하고 있는 두 권의 책보다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그래도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어서 앞의 책들도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책의 표지에 보면 법의곤충학자가 들려주는 살인자 추적기 라는 글이 있다.
어떻게 저런 것들로 가해자나 피해자를 찾을 수 있는 것인지 이 책의 이야기를 따라 읽다보니 점점 흥미진진해졌다.
특히 얼굴 복원에 관한 이야기는 모르던 부분에 관한 현실을 알게 된 느낌이어서 더 관심이 갔다.
증거, 증인, 단서 등등 이 책을 읽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짚어본 느낌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범죄로 여기지 않았던 명예 훼손에 대한 결투가 지금은 범죄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명예라는 것에 대한 법률가들의 생각을 볼 수 있었다.

20세기 초 법률가들은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모든 개별적인 사례들을 포괄하는 보편적인 명예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단 한 사람도 빠짐없이 훌륭하다고 인정하는 그런 보편타당한 명예란 존재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명예나 모욕이라는 것은 그때그때 처함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43p)

'살인' 사건에 대한 글을 읽으며 더 깊이 알게 된 것은 사람의 심리였고,
어떻게 사건을 파악하고 진실을 밝혀내는지 이 책을 통해 사건의 전모를 읽어보는 시간이 되었다.
요즘들어 특히 더 수법은 악랄해져서 뉴스를 보아도 끔찍한 사건들에 혀를 내두르게 되는데,
주변에서 이런 끔찍한 일을 절대 보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이 책을 다 읽고 ’끝을 맺으며’ 에 있는 한 문장에 공감을 했다.

인류가 살아있는 한,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범죄는 계속 일어날 것이다. (285p)

19세기 말에 범죄수사학이 막 태동을 했지만 범죄는 계속되고 있다.
변종하는 인플루엔자처럼 범죄는 새롭게 예측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범죄와 거기에 대한 분석을 보며 진실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