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 완결 편
이케다 가요코 지음,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흥미로운 글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세계를 100명이 사는 마을로 축소시켜본다는 글이었다.
그렇게 축소해서 살펴본 세상은 독특하고 흥미로웠다.
글을 읽으며 생각해보니 나의 삶이 힘겹지만은 않은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다시 인터넷을 뒤져 글을 찾아보았다.
"오늘 아침, 눈을 떴을 때 당신은 오늘 하루가 설레었나요?
오늘 밤, 눈을 감으며 당신은 괜찮은 하루였다고 느낄 것 같나요?
지금 당신이 있는 곳이 그 어디 보다도 소중하다고 생각되나요?
선뜻, "네, 물론이죠"라고 대답하지 못하는 당신에게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주변이 조금 달라져 보일지도 모릅니다.
지금 세계에는 63억의 인구가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일 세계를 100명이 사는 마을로 축소시킨다면 어떻게 보일까요?
52명은 여자이고, 48명은 남자입니다.
30명은 아이들이고, 70명은 어른입니다. 어른들 중 7명은 노인입니다.
.........."
세계를 100명의 마을로 축소해본다는 발상 자체가 재미있었고,
그렇게 축소해보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세상을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 읽게 된 책은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완결편이다.
지구촌이라고 불리는 시대, 세계를 작은 마을로 보고 여러 가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내 생각과 달랐고,
여성이 토지를 가져서는 안 되는 나라도 있다는 부분은 의아하기도 했다.
숲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을 숫자로 보게 되니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이 책을 읽으며 처음에는, 세상에서 공평하지만은 않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게 된다면,
나중에는 점점 바뀌고 있는 세상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며 현재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흐르게 될 지 예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된다.
그리고 인류 모두에게 좋은 방향으로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된다.
특히 이 책의 맨 뒤에 있는 <통계자료>의 출전과 주석 부분도 유용했다.
이 책의 글은 그저 대충 추측성 글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자료에 근거했다는 점이
이 글에 더 힘을 실어준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