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 feed
M. T. 앤더슨 지음, 조현업 옮김 / 지양어린이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피드라 불리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람들의 뇌 속에 직접 이식된 미래 세계는 텔레파시처럼 엠 채팅(메신저가 진화된 형태)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는 많은 두뇌 기능을 대행한다. 
온갖 지식과 정보를 피드넷을 통해 공급받으며, 교육*문화*소비 등 모든 사회생활을 피드로 수행한다. 
어떤 사이트에서는 환각제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정신적*육체적 감각을 발생시키는 가상 체험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그것을 맬이라고 한다. ” (책들어가기전)
 
 
우리가 공상 과학 영화를 통해 접하던 미래 세계의 모습이 이 책 속에 펼쳐진다. 
굳이 입을 열지 않더라도 생각만으로 대화가 가능하고, 달로 여행을 다녀오고, 피드를 통해 필요한 것의 검색이 가능한 세상... 
하지만 그 속에서 사는 아이들은... 내가 봤을 때 조금 불행해 보이기까지 한다. 
특히 뒤늦게 ‘피드세상’에 합류했던 바이올렛의 마지막은 그러한 생각의 좋은 예가 되어준다.
 
친구들과 함께 달로 여행을 떠난 타이터스. 그 곳에서 아름다운 바이올렛을 만나게 된다.
 
그 곳에서 정체모를 사람에게 피드를 해킹을 당하게 되고, 모두는 병원에 있게 된다. 
처음으로 피드가 없는 상황에 처한 그들은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따분하고, 따분하고, 또 따분하기만 한 생활. 
그러다가 그 상황에도 적응하여 지내지만... 지구로 다시 돌아가고 싶기만 할 때쯤, 기술자에 의해 피드가 정상적으로 돌아오고 예전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그건... 타이터스와 친구들의 경우였고, 바이올렛은 피드가 고쳐졌지만... 
예전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진다. 
피드가 자주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피드넷은 바이올렛에게 이런 절망적인 답변만을 한다
 
“ 유감이에요, 바이올렛 던. 불행하게도 피드테크와 다른 투자자들이 당신의 구매 내역을 검토했는데, 당신은 이 시점에서 믿을 만한 투자 대상이라고 여겨지지 않았어요. ... 우리 기업 투자자들이 당신한테 보인 반응은 이랬어요. ” 이게 뭐 하는 짓이야?“ 미안해요 - 당신이 피드를 단지 그런 식으로 쓸까봐 걱정입니다.... ”
 
그렇다. 
무언가를 구입하지 않고 돈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치료를 할 수 없다는 내용의 답변을 보면서 바이올렛만큼 나도 암울해졌다. 
미래 세상은 이런 것일까??
 
 
어쩌면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이런 것일 수 있겠다. 
모든 사람들을 하나의 기구로 통합시켜 조사하고, 감시하고, 그것없이는 살 수 없게 만든 후 그들의 노예와 같이 만들어 버리는 세상. 복종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게 만드는 세상. 
그런 세상을 비판하는 것. 
조심하라고 경고해 주는 것. 
앞으로 그런 세상이 되도록 그냥 내버려 두지는 말자는 것.
 
공상 과학이 그려내는 미래 세상은 꿈이 가득하고, 모든 이들이 행복한 그런 밝은 세상일 수도 있겠지만, 
인간의 욕심에 자칫 잘못 하면 이처럼 암울해져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겠다. 
역시... 모든 것은 인간이 하기 나름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