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근담 - 시대를 초월한 인생 지침서 1 ㅣ 시대를 초월한 인생 지침서 1
홍쯔청 지음 / 북타임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채근담...씹어서 맛봐야 할 인생의 교훈을 담은 책... 이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한다.
<채근담>이라는 책의 이름은 명대보다 더 거슬러 올라간 송나라 시대의 어느 학자가 ’사람이 야채 뿌리를 잘 씹으면 곧 백년을 이룬다(딱딱한 야채의 뿌리를 씹듯이 역경을 견딜 수 있으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6p
책을 읽는 것도 옷을 입는 것도 생활 방식도 유행이 있다.
유행에 따라서 같이 흘러가버릴 때가 많이 있다.
하지만 바쁠 때일수록 천천히 생각해보고 돌아갈 필요가 있다.
힘들 때일수록 옛 것을 살펴보고 거기에서 해답을 얻을 필요도 있다.
할 일이 너무 많다.
일과 시간에 이끌려 정신없이 이 곳에 와있다.
바쁘고 또 바쁘게 일상을 보내고 있고, 불경기라고 힘에 겨워하면서도 정신없이 휩쓸려가며 살고 있다.
이런 때에 나 자신을 다져볼 책을 만나게 된 것이 행운이고 여유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는 생각해 볼 여러 가지의 주제에 대해 제시해준다.
삶의 방식, 마음 가짐, 자기를 다스리는 것, 타인과의 관계, 사물을 보는 방식, 매일의 행동, 인간에 대하여, 그리고 행복에 대하여 주제가 나뉘어 생각해 볼 거리를 제공한다.
어려운 고전을 쉬운 현대말로 만나게 되는 행운이 있다.
게다가 어떤 말이었는지 궁금하다면 채근담 원문이 담긴 맨 뒷면을 보면 앞에서 본 내용이 다 담겨있다.
시간이 없다고 해도 문제가 없다.
정 시간이 없으면 조금만 읽어도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
각각의 이야기가 짧게 마무리 되어 있어서 굳이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하는 부담이 없다.
어렵게만 생각했던 고전이었는데, 막상 접하고 보니 어렵지만은 않았고, 야채 뿌리를 씹듯 그 뜻을 곱씹어보니 그 뜻 또한 나에게 더 가깝게 다가왔다.
읽는 시간보다 생각할 시간이 더 많이 걸렸던 것도 씹어볼 내용이 더 많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되뇌이며 생각하다보니 <채근담>이라는 이름의 의미를 알것도 같다.
논어에 “옛 것을 알고 새 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溫故而知新可以爲師矣).” 라는 구절이 있다.
현재에 막힘이 있으면 과거의 글에서 진리를 얻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과거와 현재를 균형있게 익혀 보다 풍성한 미래를 맞이하게 되었으면 좋겠다.
처세라는 것은 과거도 현재도 그리고 미래에도 참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