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혁명 - 녹색마을 자연학교의 참살이 건강 비법
이태근 지음 / 더난출판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스스로 질병에 걸려서 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고 죽을 때까지 면역억제제를 먹으라는 선고를 뒤로하고 구수골로 들어가서 약 없이도 건강을 되찾은 이태근 저자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책이다.

이 책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소식과 단식, 자연식이고, 관상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 사람이 무엇을 얼마나 먹는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의사가 아니다. 그런 쪽에 정규 과정을 거친 사람은 아니지만, 스스로 아팠고, 병을 이기기 위해 여러 책을 섭렵하고, 많은 노력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의사나 약사는 약을 처방해주지만, 식생활과 생활 습관을 개선해 줄 시간이나 노력이 많이 부족하다.

평생 약을 먹지 않으면 목숨을 보장할 수 없다고 엄포를 놓았던 저자의 경우에도 약을 끊고 자연에서 소식을 하며 마음 편하게 살다보니 지금까지도 무탈하게 잘 살고 있다.

아무리 좋은 약을 먹어도 쓰레기 같은 음식을 먹게 되면 당연히 몸에 좋지 않을 것인데, 사실 그들은 몸에 이상이 오게 된 원인이 되는 음식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 책에 나열한 지식들에 좀더 근거가 제시되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좋다는 것을 다 모아놓는 것이 좋은 이론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 책은 저자의 경험과 생각을 적은 것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좀더 체계화 되고 많은 사람들이 실천하기 좋은 것이 되었으면 좋겠다. 특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인 환자들에게 좋은 결과를 안겨주는 이론이 되었으면 좋겠다.

서양의학의 한계는 새로운 이론이 나오면 기존 이론은 뒤집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아침 공복에 물을 벌컥벌컥 들이키면 독이 되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직도 건강을 생각하면서 그렇게 실천하여 병이 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며칠만 안 해보면 몸이 가볍고 물때문에 생기던 병이 사라지는데, 아직도 건강의 반대 방향으로 가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음식도 마찬가지이다. 건강을 위해 아주 잘 먹다가 오히려 못먹는 것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많다. 열심히 실천하면서 건강을 해치는 경우도 많이 있으니 안타깝다. 그렇다고 자신에게 맞지않는 민간요법을 시도하는 사람들도 안타깝다. 다들 건강을 생각하려다가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경우라는 생각이 든다.

못먹어서 생긴 병은 잘 먹으면 금방 낫지만, 너무 잘먹어서 병이 생기면 약도 없다는 옛말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다.

엄청난 수의 우리의 세포들은 매일 새롭게 새롭게 세상을 창조해가는데, 정작 우리 자신은 스스로의 위대한 위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인간의 자연치유력은 생각보다 위대하니, 스스로를 작은 우주라고 생각하고 귀하게 여겨야 한다.

특히 맨 뒤의 레시피는 하나씩 해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