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살아 내는 게 엉망이어도 괜찮아 - 다시금 행복을 애쓰고 있는 당신에게
윤글 지음 / 딥앤와이드(Deep&WIde)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사는 게 뒤죽박죽 정신없다고 생각될 즈음, 이 책의 제목을 보니 묘하게 위안이 된다.

"가끔 살아 내는 게 엉망이어도 괜찮아"

정말이지 이 말 한마디에 끄덕이게 되는 날들이 있다. 나만 유독 뒤처진 것 같고, 모든 걸 그만두고 싶을 때, 이 책은 등을 다독이며 말한다. "너 잘하고 있어. 무너지는 날도, 못 버티는 날도 괜찮다"라고.

표지 속 수영장에 몸을 맡긴 인물처럼, 이 책을 읽는 동안만큼은 긴장을 내려놓아도 된다. 물에 뜨듯 가볍게 책장에 몸을 맡기다 보면 어느 순간 마음에 여유가 생긴다.

『가끔 살아 내는 게 엉망이어도 괜찮아』는 스스로를 자책하기 바쁜 이들에게 건네는 가장 현실적인 위로이자, 다정한 생존 매뉴얼이 되어줄 수 있는 에세이다.



에세이스트 윤글의 글은 조용하게 다가온다. 누군가의 격렬한 응원이나 화려한 위로가 아니라, 오래된 친구가 건네는 담백한 한 마디 말 같다.

가벼운 글처럼 시작되지만, 읽을수록 마음 깊숙한 곳을 건드린다.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어느새 '아, 나도 이런 생각 해봤어', '그래서 힘들었지'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저자는 무리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한다. 특히 「할 만큼 했으면 된 거다」라는 글은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관계에서 최선을 다해봤고, 상처도 받았고, 이제는 마음을 거두기로 했다는 문장은 어쩌면 우리가 스스로에게 해줘야 할 말인지도 모른다. 저자는 지나간 인연을 붙잡지 않기를, 이제는 나를 위한 선택을 하기를 권유한다. 이 책을 덮고 나면 '노력은 했고, 이제는 나를 살필 차례야'라는 생각이 조용히 자리 잡는다.

「정리해야 할 사람의 열 가지 목록」에서는 꼭 기억해둘 만한 충언을 만날 수 있다. 대놓고 해를 끼치진 않지만, 묘하게 나를 지치게 만들거나 나의 존재감을 흐리게 하는 이들이 있다. 그들과의 관계를 무조건 끊으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내가 나를 잃지 않기 위해 경계해야 할 관계의 실마리를 보여준다. 어떤 관계는 정리가 아니라 정돈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로 다가온다.

인간관계에 대한 챕터도 날카롭다. 「관계의 유효 기간」, 「시절인연」, 그리고 「나르시시스트의 특징」 등은 마치 내가 겪어온 관계들의 해석서 같다.

내가 힘들어했던 그 사람, 나를 헷갈리게 만들었던 행동들에 이름을 붙여주고 정리해준다. 무언가 설명되지 않았던 감정이 정돈되는 느낌이다.

나만 이상한 게 아니었고, 나만 예민한 게 아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위로가 된다.

그리고 이 책의 미덕 중 하나는 결국 나를 돌아보게 한다는 점이다. 누구를 원망하기 전에 나를 위한 균형을 찾고 싶게 만든다.

더 잘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덜 상처받기 위해서. 타인보다 나를 먼저 챙겨야 한다는 메시지는 진부하지 않고, 오히려 오늘의 나를 다독이는 현실적인 조언처럼 느껴진다.


윤글의 문장은 크지 않지만, 울림이 깊고 짧지만 곱씹게 만든다. 이 책은 거창한 삶의 기술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오히려 오늘 하루를 무사히 버틴 당신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지금도 애쓰고 있는 마음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책이 건네는 위로는 '괜찮아'라는 말에 머물지 않는다. 무작정 토닥이는 대신, 왜 괜찮은지, 어떻게 살아낼 수 있는지를 함께 고민해준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나면 어느새 나도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어진다. "너도 많이 애썼구나, 엉망이어도 괜찮아." 그것은 결국 자신에게 보내는 말이기도 하다.

삶이 늘 정돈된 모양새로 굴러가지 않아도, 그 안에서 나름의 질서를 찾아가며 버티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소란스러운 하루 끝, 마음 한구석을 살며시 정리해주는 묵직한 쉼표 같은 존재가 되어준다.

위로의 손길처럼 다가와 마음을 감싸주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건네주는 에세이다. 바닥에 주저앉고 싶을 때, 이 책은 조용히 곁에 앉아 "그렇게 있어도 괜찮다"고 말해준다.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건 정답이 아니라, 괜찮다고 말해주는 이 한 권의 책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