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 상상과 과학의 경계에서 찾아가는 한민족의 흔적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0
강인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생명강 시리즈 제10권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이다.

인생명강은 대한민국 대표 교수진의 강의를 엄선하여 오늘을 살아갈 지혜와 내일을 내다보는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21세기북스 출판사의 시리즈 도서인데, 이 시리즈로 철학· 역사·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 콘텐츠를 만날 수 있다.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은 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나'라는 존재, '우리'라는 한민족이 이 땅에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고고학자의 시각에서 바로 보여주고자 기획되었다. (책 띠지 중에서)

나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하고자 한다면 근원에 접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 이 책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을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강인욱.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하고 러시아과학원에서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고고학을 강의하고 있다. 시베리아와 만주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북방고고학을 주로 연구하며 좁은 틀을 벗어나 유라시아의 관점에서 한반도의 고대를 바라보고자 한다. (책날개 중에서)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된다. 프롤로그 '한민족의 기원을 찾아가는 여정', 들어가며 '한반도로 이어지는 세 가지 길'을 시작으로, 1장 '우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_ 청동기', 2장 '우리는 어떻게 세계와 교류했는가 _금관', 3장 '우리도 모르는 우리의 숨겨진 이야기_동해', 4장 '우리의 언어와 DNA에 새겨진 기원을 찾아서'로 나뉜다.

이 책에서는 한민족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그 출발점부터 질문을 던진다.

한반도의 기원이라고 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 아니면 그와 이어지는 단군 신화? 역사와 지리 등 다방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타이, 시베리아 같은 유라시아의 지역과 지명 정도까지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조금 더 나아가 보자. 정말 "한국사 교과서에서 본 이야기만이 고조선의 전부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그렇지 않다"다. (23쪽)

우리가 교과서에서 당연시하며 배웠던 것부터 '정말 그럴까?'로 시작하며 이 책의 이야기에 집중해본다.

하긴 저자의 말처럼 유물들이 스스로 자신이 무엇인지 말할 리는 없고, 고고학자들이 물건을 이리저리 관찰하며 유추와 해석을 하는 것이니,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이 책을 읽어나갈 수 있었다.

교과서에서 시험을 위해 접할 때에는 뜻도 모르면서 외우기에 바빴는데, 보다 생생하게 짚어보니 새롭게 다가왔다. 지금 보기에 낡고 녹슨 청동기 하나에도 정말 많은 기술과 사회적인 비용이 들어간다는 사실이 정말 놀라웠다.

한국어의 기원에 대한 글도 인상적이다. 우리는 한국어가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배웠지만, 놀랍게도 학계에는 한국어가 우랄-알타이어족에 포함된다고 자신 있게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한국어가 어느 어족에 속하냐는 질문에 속 시원하게 답할 수 있는 학자도 없다는 것이다.

학계에서 한국어가 우랄-알타이어족이라고 단정 짓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어가 어족의 다른 언어와 공통된 특징도 있지만, 숫자나 가족, 신체 등과 같은 기본적인 단어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기원에 대해서도 이론이 분분하지만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고찰해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었다.

우리는 결코 외롭거나 고립된 민족이 아니었다. 앞으로도 고고학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해 밝히는 것은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첫걸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263쪽)

우리는 단일민족이라고 배워왔지만 단일민족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재미있게 강의를 듣는 듯 새로운 관점에서 한민족의 기원에 대한 생각을 따라가보았다.

그러면서 우리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보고 현재 21세기의 우리 자신을 둘러보게 되었다. '상상과 과학의 경계에서 찾아가는 한민족의 흔적'이라는 이 책의 부제에 부합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