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드림의 이상하게 빠져드는 과학책 - 읽다 보면 저절로 똑똑해지는 과학 이야기
김정훈(과학드림) 지음 / 더퀘스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택배를 받아 책을 꺼내들고는 보통 '먼저 온 책 우선 읽어야지' 생각한다. 그런데 가끔 그 생각이 달라질 때가 있다. 이 책을 접했을 때 그랬다.

"과학은 쓸데없이 왜 이렇게 신기한 거야?"

나도 그렇게 생각했잖아. 정말 이렇게 신기하고 재미있어도 되는 거야?

이 책이 꺼내들자마자, 스르륵 펼쳐들게 되고, 에라 모르겠다 엄청 궁금하니 이것부터 읽자, 그렇게 착착 진행된 것이다.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지만 호기심과 궁금증이 절로 생겨나는,

75만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의 멈출 수 없이 빠져드는 재밌는 과학 이야기 (책 뒤표지 중에서)

호기심에 호기심이 더해져 결국 읽을 수밖에 없는 흥미로운 과학의 세계다.

인간의 눈에만 흰자위가 있다고?

장염 환자에게 기생충 알 2,500개를 먹이면?

옛날 옛적, 물고기는 왜 육지로 올라왔을까?

티라노사우르스의 앞발은 왜 이렇게 짧았을까?

대머리독수리는 왜 대머리가 됐을까?

방울뱀의 꼬리 속에는 뭐가 들었길래 소리가 날까?

입으로 새끼를 낳는 개구리가 있다고?

바나나는 씨가 없는데 어떻게 재배할까?

전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혈액형은?

그 답이 궁금해서 이 책 『과학드림의 이상하게 빠져드는 과학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김정훈(과학드림). 현재 유튜브 '과학드림' 채널을 운영하며 과학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이다. 특유의 귀엽고 독특한 유머가 담긴 스토리텔링으로 다양한 과학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학드림은 영상을 만들기 전 탄탄한 사전 고증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카더라' 통신으로 영상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전을 살피고, 때로 의문이 생기는 부분은 직접 각 분야 전문가에게 연락해 신뢰도를 높인다. (책날개 발췌)

이야기에는 큰 힘이 있습니다. 화려한 액션이 없어도 스토리가 훌륭한 드라마나 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는 이유도 우리의 마음을 쥐락펴락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죠. 저는 이 책을 통해 과학이 유명 드라마나 스릴러 못지않게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들로 가득하다는 사실을 많은 독자분들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과학을 좋아했지만, 점차 과학과 멀어져 갔던 분들이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자연과 동식물에 대한 어린 시절의 설렘을 되찾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또 지금도 과학을 좋아하는, 혹은 앞으로 과학을 좋아할 분들에겐 과학의 마력(?)에 더욱 흠뻑 빠지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8쪽)

이 책은 챕터 5로 구성된다. 프롤로그 '과학을 좋아하는, 또 앞으로 좋아할 분들을 위해'를 시작으로, 챕터 1 '사람은 왜 이래?', 챕터 2 '공룡은 왜 이래?', 챕터 3 '동물은 왜 이래?', 챕터 4 '곤충은 왜 이래?', 챕터 5 '식물은 왜 이래?'로 이어지며, 에필로그 '세상을 보는 색다른 안경, 과학'으로 마무리된다.

가장 먼저 나오는 이야기는 〈아기는 왜 귀여울까?〉이다. 그냥 첫 이야기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우리의 뇌는 아기라면 인간이든 동물의 새끼든 인형이든 상관없이 귀여워하는데, 이 귀여움을 느끼는 마음이 인류의 번식과 연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아기를 보면 마구 우쭈쭈 해주고 싶은 이유는 단순히 어려서가 아니라 아기가 지닌 외형적 특징 때문에 우리 뇌가 그렇게 반응했던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리고 진화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그의 저서 《판다의 엄지》를 통해 디즈니 대표 캐릭터인 미키마우스의 변천사를 분석했다고 하는데, 과거부터 지금까지 미키마우스의 얼굴은 점차 눈과 머리가 커지고, 주둥이가 짧아지는 쪽으로 변화했다고 한다. 그게 더 귀여우니까.

그러고 보면 전 멤버가 알게 모르게 모두 성형을 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그들은 바로 카카오프렌즈.

이 또한 귀여움으로 향해 가는 과정인가 보다.

한 가지 이야기만 보아도 그다음에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호기심이 생겨서 계속 읽게 되는 책이다.



〈인간의 눈에만 흰자위가 있다고?〉

과학 용어로 흰자위를 '공막'이라고 부르는데, 인간의 공막은 오랑우탄보다 무려 3배나 크다. 그런데 진화생물학에서는 인간의 넓고 흰 공막을 사회성과 연관지어 설명한다는데…. 이른바 '협력적 눈 가설'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나는 눈 흰자위에 대한 사회적 협력 가설이 무척 흥미로웠다. 그리고 이는 학계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협력적 눈 가설에 관한 증거들이 흥미로워서 저절로 시선이 집중된다.



특히 이 책을 흥미롭게 해주는 데에는 그림도 한몫한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하려면 글뿐만 아니라 그림도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는 책이다.

모르는 이야기는 신기하게, 아는 이야기는 더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기린 그림이 귀여워서 사진으로 좀 더 담아보았다.

귀엽다고 느끼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부담감을 덜고 장벽을 허물며 부드럽게 느끼리라는 계산이 저변에 깔려있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바나나는 씨가 없는데 어떻게 재배할까?〉

씨가 있어야 심어서 키울 텐데, 도대체 바나나는 어떻게 재배할까? 통째로 심는 걸까? (책 속에서)



이 책을 보며 바나나의 진실을 들었다. 한 가지만 언급해 보자면, (이런 말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바나나는 나무가 아니라 풀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더 많은 바나나의 진실을 이 책에서 한꺼풀씩 벗겨내고 있다.

또한 앞으로 바나나가 멸종되어 못 먹을 거라는 얘기가 있는데 거기에 대해서도 언급하니, 눈을 크게 뜨고 읽었다. 그리고 독특하고 신기한 매력을 지닌 바나나에 반할 수밖에 없다는 말에도 동의하며 신나게 읽었다.



이 책은 다양한 호기심으로 시작해 넓은 시야로 궁금증에 접근하면서도 그 분야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깊숙이 파고드는 집요함을 보여준다. 또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춘 친절한 설명과 재밌는 그림으로 과학에 더 친근하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다양한 과학지식을 접하며 잠들어 있던 호기심 세포가 깨어나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_김일훈 박사(국립해양생물자원관)

사람, 공룡, 동물, 곤충, 식물에 걸쳐서 호기심을 채워주는 과학책이다.

지금까지 별로 궁금하지 않았더라도 상관없다. 일단 이 책을 펼쳐들면 호기심이 막 생기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듣고 싶어질 것이다. 과학이 생각보다 많이, 아주아주 엄청나게 재미있다는 것을 실감하며 볼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