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 - 구글맵도 찾지 못하는 우리 몸 구조
가이도 다케루 지음, 요시타케 신스케 그림, 서혜영 옮김 / 니케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재미있게 인체 탐험을 할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되어 관심이 갔다. 사실 인체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책은 어렵고 낯선 것이 대부분이었으니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인체 과학책!'이라는 점에 당연히 시선이 갔다. 이 책의 목적은 독자가 이 책을 다 읽었을 때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간단하게 핵심적으로 살펴본 후 커다란 틀에서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다면, 그것도 쉽고 재미나게 읽으며 하나씩 익힐 수 있다면 해볼만 할 것이다. 이 책 《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를 읽으며 인체 탐험을 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책은 천재 그림작가 요시타케 신스케와 의학박사이자 인기 소설가 가이도 다케루의 공동저서이다. 그 둘의 유쾌한 입담과 재치 있는 그림으로 탄생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인체 과학책'인 것이다. 뒷표지에 보면 호기심 어린 질문들이 가득하다. '오른쪽 콩팥은 왜 왼쪽 콩팥보다 더 아래에 있을까?', '태아의 심장에는 왜 구멍이 뚫려 있을까?', '해부했을 때 늘 비어 있는 곳은?', '매일 죽고 매일 다시 살아나는 세포가 있다?' 등등의 질문에 대한 답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집어들자마자 펼쳐들게 될 것이다.

이 책만 읽으면 몸에 대한 모든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세세한 부분까지 모조리 다루지는 않았지만 몸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기에는 충분하다. (책 속에서)

이 책은 '서론, 총론, 각론, 의학개론'으로 나뉜다. 서론에는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나요?'와 '내 몸의 지도를 그려보자/ 이 책의 구조/ 몸의 좌표'가 수록되어 있다. 총론에는 몸이란 무엇일까, 몸의 구분이, 각론에는 장기 분해, 아기가 생기는 과정, 장기 재조립이, 의학개론에는 죽음과 의학, AI에 대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서론부터 시선을 끌어들인다. 지금까지 읽어본 인체에 대한 책과는 상당히 다르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집중하게 만든다. 서론을 읽다보면 많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래, 몸은 우리에게 단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자산이니, 당연히 우리 자신의 몸을 누구보다도 잘 알아야겠네'라는 생각이 들 무렵, 우리 몸 탐험을 시작하게 된다. 쉽고 재미나게 말이다.

이 책의 앞부분에는 책을 읽기 전에 능력껏 '몸 지도'를 그려보라고 권한다. 또한 이 책을 읽고 나서 한 번 더 '몸 지도'를 그려보라고 한다. 이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에 몸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을 것이다.


 

 

                            


본문을 보면 이보다 더 간단하게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딱딱하지 않게 다가와서 되도록 쉽고 핵심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이다. 최대한 쉽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에 대해 풀어나갔다는 것은 '만약 의사가 되고 싶은 어린 독자가 이 책을 집었다면, 이 책에 있는 내용 정도는 중학교를 다니는 동안 마스터해버리라고 권하고 싶다(13쪽)'라는 표현에서 더욱 공감하게 될 것이다. 특히 글과 그림이 시너지 효과를 내어 이 책만의 장점으로 부각시켰다.




끝으로

이 책을 처음부터 한 번 더 훌훌 넘기며 살펴보자.

우리 몸의 작은 공간 안에 이렇게 다양한 장기들이 그득히 채워져 있다는 걸 알고 새삼 놀랄 터.

우리의 몸은 굉장하지 않은가?

그러니 구석구석까지 이해하고 소중히 사용하자. (210쪽)

덧붙이는 글에 보면 저자가 이 책을 써야겠다고 생각한 이유에 대해 말한다. 즉, '중학생도, 도쿄대생도, 그리고 보통의 어른도 '몸의 지도'를 그릴 줄 몰랐다'는 것이다. 하긴 이렇게 간단하게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면 기억도 오래 갈 것이다. 표지 그림의 인간 몸을 빌어 몸 지도를 그린다면 쉽게 익히며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본 아마존 10년 연속 스테디셀러라는 점에서도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다른 것은 몰라도 내 몸 안에 있는 장기들에 대해서 큰 그림 정도는 그려보아야 하지 않을까. 어려운 책이 부담스럽다면 최소한 이 책 정도는 우리몸 입문서로 읽어보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